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삼성전자 3분기 영업익 2.4조 원…올해 첫 조 단위 '깜짝 실적'

삼성전자 3분기 영업익 2.4조 원…올해 첫 조 단위 '깜짝 실적'
삼성전자가 올해 3분기 영업이익 2조 원이 넘는 기대 이상의 실적을 냈습니다.

올해 들어 첫 조 단위 영업이익입니다.

주력인 반도체 부문의 적자가 다소 줄고, 모바일과 디스플레이 부문이 실적 버팀목 역할을 한 데 따른 것으로 보입니다.

삼성전자는 연결 기준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이 2조 4천억 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77.9%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오늘(11일) 공시했습니다.

다만 영업이익이 6천억 원대에 그친 1·2분기와 비교하면 실적 개선 개선세가 뚜렷합니다.

직전 분기의 6천700억 원보다는 3배 이상으로(258.2%) 증가했습니다.

이번 영업이익은 연합인포맥스가 집계한 시장 전망치 1조 8천396억 원을 30.5% 웃돌며 '어닝 서프라이즈'(깜짝 실적)를 기록했습니다.

매출은 67조 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12.7% 감소했습니다.

지난 2분기의 60조 100억 원보다는 11.7% 증가했습니다.

증권가에서는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에서 3조 원대 안팎 적자를 냈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반도체 부문에서 낸 조 단위 적자를 모바일경험(MX)과 삼성디스플레이(SDC) 부문 영업이익이 상쇄하며 실적을 이끈 것으로 보입니다.

반도체 적자 규모는 4조 원대 중반 적자를 낸 1분기나 2분기보다 다소 줄었을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합니다.

삼성전자는 지난 1분기 실적 발표 때 메모리 반도체 감산을 공식화했습니다.

3분기에 감산 효과가 일부 나타나기 시작하면서 반도체 수익성이 개선된 것으로 보입니다.

채민숙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상반기부터 이어진 감산은 보유 재고를 줄이려는 목적이 가장 크다"며 "감산에 따른 공급 조절 효과는 이미 나타나기 시작해 3분기부터 D램 평균 판매 단가(ASP)가 상승 전환했을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다만 감산 확대에 따른 고정비 증가 여파로 이번에 반도체 적자가 큰 폭으로 개선되지는 않았을 것으로 업계에서는 추정합니다.

감산 효과는 4분기에 본격적으로 가시화하면서 메모리 가격 상승과 재고 개선이 맞물려 실적 개선에 힘이 실릴 것으로 증권가에서는 예상했습니다.

연합인포맥스가 최근 1개월 내 발표된 증권사 실적 전망(컨센서스)을 집계한 결과 삼성전자의 4분기 연결 영업이익 추정치는 3조 905억 원입니다.

한동희 SK증권 연구원은 "3분기에 손익분기점(BEP)에 근접하기 시작한 삼성전자의 D램 수익성은 2차 감산 효과가 공급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하는 4분기부터 회복세가 가속할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삼성전자 주력 사업인 메모리 시황은 바닥을 통과했다는 인식이 지배적입니다.

최근에는 반도체 시장 선행지표로 통하는 D램 현물 가격이 하락세를 멈추고 반등하는 등 업황 회복 신호가 포착되고 있습니다.

김동원 KB증권 연구원은 "삼성전자의 3분기 잠정 실적 발표가 실적 바닥을 인지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며 "4분기에는 D램과 낸드 가격이 2021년 3분기 이후 2년 만에 동시에 반등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삼성전자는 오는 31일 사업부별 실적을 포함한 3분기 확정 실적을 발표합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