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8월 국내 은행 20곳 준법감시인력 689명…작년 말보다 18% 늘어

5대 시중은행 본점의 로고, 위에서부터 국민은행, 신한은행, KEB하나은행, 우리은행, 농협은행 (사진=연합뉴스)

올해 들어 국내 은행 20곳의 준법감시인력이 18%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9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윤주경 국민의힘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8월 기준 국내 20개 은행의 준법감시인력은 모두 689명으로 작년 말(585명)보다 17.8% 늘었습니다.

8월 기준 준법감시인력이 전체 임직원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0.63%로 작년 말(0.53%)보다 소폭 높아졌습니다.

금감원은 지난해 우리은행에서 600억 원대의 횡령 사고가 드러나는 등 은행의 내부 통제 문제가 불거지자 준법감시인력의 단계적 확충 등의 내용을 담은 내부 통제 혁신 방안을 발표한 바 있습니다.

이 방안에 따르면 일반 은행은 전체 임직원 대비 준법감시인력 비율을 올해 말에는 0.4%를 달성해야 하며 2027년까지 매년 0.1%포인트 올려 0.8% 이상이 되도록 해야 합니다.

임직원 1천500명 이하인 소규모 은행의 준법감시인력 의무 비율은 올해 0.6%, 2027년에는 1%로 제시됐습니다.

20개 은행 가운데 8월 현재 이 비율을 달성하지 못한 곳은 농협은행이 유일합니다.

농협은행의 8월 준법감시부서 인력은 53명으로 전체 임직원(1만 6천112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0.33%에 그쳤습니다.

4대 시중은행 중에서는 국민은행의 준법감시인력이 68명으로 가장 적었고, 비율도 0.41%로 가장 낮았습니다.

신한은행은 86명으로 비율은 0.64%로 집계됐으며 우리은행 0.68%(91명), 하나은행 0.61%(70명) 등으로 이들 은행은 0.6%대로 나타났습니다.

20개 은행 가운데 인터넷전문은행인 토스뱅크의 비율이 2.97%로 가장 높았습니다.

토스뱅크의 준법감시인력은 14명으로 카카오뱅크(19명)보다 적었지만, 임직원 수가 475명으로 카카오뱅크(1천540명)의 3분의 1 수준에 그쳐 비율 격차는 2배가 넘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