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월세보다 전세"…서울 아파트 전세 비중 2년 4개월 만에 최대

"월세보다 전세"…서울 아파트 전세 비중 2년 4개월 만에 최대
지난달 서울 아파트 전세 거래 비중이 2년 4개월 만에 최대를 기록했습니다.

월세보다 전세를 찾는 수요가 증가한 것으로, 최근의 전셋값 상승세가 당분간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옵니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 집계에 따르면 8일 신고건수를 기준으로 지난달 서울 아파트 전월세 거래량 1만 4천22건 가운데 전세 거래는 8천707건으로, 전체의 62.1%를 차지했습니다.

이는 2021년 5월 전세 비중 67.2%를 기록한 이후 2년 4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치입니다.

서울 아파트 전세 비중은 2020년 8월 68.9%에 달했으나 임대차 2법 시행 이후 전셋값이 급등하면서 점차 월세로 이동하는 수요가 증가했습니다.

특히 지난해 전세자금대출 이자 상승과 전세사기 여파로 지난해 12월 서울 아파트 전세 비중은 47.6%까지 줄어들었습니다.

그러다 지난해부터 올해 초까지 전셋값이 크게 하락한 이후 월세 수요가 다시 전세로 갈아타거나 집주인 협의를 통해 월세를 전세로 돌리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지난해 하반기 최고 6%대였던 시중은행의 전세자금대출 금리도 최근 3∼4%대로 떨어지는 등 작년보다 대출 문턱이 낮아지면서 전세자금대출을 받아 새로 전세를 얻으려는 임차인이 증가했습니다.

또 전세사기 이후 다세대 등 빌라 기피 현상이 커지고 아파트 전세의 선호도가 높아졌습니다.

전세보증금을 월세로 전환할 때 적용하는 전월세전환율이 서울 아파트 기준 4.8퍼센트로 은행 금리보다 높아진 것도 전세 수요 증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

이런 분위기 속에 월세보다 전셋값이 더 많이 오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부동산R114가 올해 상반기와 3분기 각각 동일 단지, 동일 주택형에서 신규 계약된 서울 아파트 전월세 거래가격을 비교했더니, 전세 평균가는 올해 상반기 4억 8천352만 원에서 3분기 들어 5억 1천598만 원으로 6.7% 올랐습니다.

이에 비해 월세는 보증금으로 환산해 비교한 결과, 상반기 4억 9천118만 원에서 3분기에는 5억 507만 원으로 2.8% 올라 상승폭이 전세의 절반 이하였습니다.

전문가들은 전세 수요가 늘면서 당분간 전셋값 강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