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포털 여론 조작 논란의 다음, PC · 모바일 이용자도 '외면'

포털 여론 조작 논란의 다음, PC · 모바일 이용자도 '외면'
카카오가 운영하는 포털 '다음'(Daum)의 응원 페이지 여론 조작 논란이 커진 가운데, PC·모바일에서 다음 이용자가 계속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오늘(5일) 인터넷트렌드의 웹사이트 분석 데이터에 따르면 이달 1일부터 3일까지 MAU(한 달에 1번 이상 서비스를 쓴 이용자 수)를 바탕으로 한 다음의 점유율은 3.9%로, 4%를 밑돌았습니다.

같은 기간 네이버(57.5%), 구글(32.9%)의 점유율과 견줘 한참 뒤처진 수치입니다.

카카오는 지난 5월 4일부터 다음을 사내 독립기업(CIC·Company in Company)으로 운영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는 신속하고 독자적인 의사결정이 가능한 조직 체계를 확립하고, 서비스 경쟁력을 높이겠다는 취지였습니다.

그러나 5월 당시 5.1%였던 MAU 점유율은 6월과 7월 4.5%, 8월과 9월 4.1%로 외려 줄곧 감소했고 이달에는 4% 선마저 허물어질 수 있는 상황에 놓인 것입니다.

다음은 CIC 체제로 개편된 직후인 지난 6월 뉴스 댓글을 실시간 소통 방식으로 변경한 '타임톡'을 도입하고, 다음카페에 개방형 커뮤니티 서비스 '테이블'을 정식으로 출시하는 등 서비스 개편에 나섰습니다.

하지만 지난 5개월간 이용자가 되레 줄어든 것입니다.

다음 뉴스 댓글 서비스에 '타임톡' 적용

포털 이용 행태의 '대세'가 된 모바일 시장에서도 다음은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습니다.

모바일 빅데이터 기업 아이지에이웍스의 모바일인덱스 통계에 따르면 5월만 하더라도 804만 1천760명이었던 다음 모바일 MAU는 6월 785만 4천547명으로 800만 명 밑으로 떨어졌습니다.

이후에도 7월과 8월 784만 2천8명, 783만 9천630명으로 감소세를 보이다가 지난달에는 762만 4천265명으로 이용자가 대폭 이탈했습니다.

최근 항저우 아시안게임 남자 축구 한국과 중국의 경기 당시 다음의 응원 페이지에서는 중국팀을 '클릭 응원'한 비율이 90%를 넘자 정치권으로 논란이 확산했습니다.

그간 뉴스 노출 알고리즘이나 관련 댓글, '다음 아고라' 운영 등과 관련해 '편향' 논란을 빚었던 다음은 로그인과 같은 기본적인 장치도 없이 횟수 제한 없이 클릭 응원을 할 수 있도록 방치하면서 논란을 키운 셈입니다.

반면 로그인을 해야만 하는 네이버 응원 페이지에서는 중국에 대한 '응원하기' 클릭 비율은 10% 수준이었습니다.

아울러 카카오의 주력 서비스인 카카오톡의 '국민 플랫폼' 지위에도 빨간불이 켜진 상태입니다.

모바일인덱스 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카카오의 메신저 카카오톡의 MAU는 4천161만 4천394명으로 1위를 유지했지만, 2위인 구글 유튜브(4천137만 6천45)와의 차이는 23만 8천349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올해 카카오톡과 유튜브의 MAU 차이는 5개월 연속 감소하며 5월(50만 7천487명) 50만 명대까지 좁혀졌고, 이후 7월(40만 1천120명), 8월(33만 9천799명)에 이어 석 달 연속 역대 최소치를 경신했습니다.

이런 추세가 이어진다면 연내에 유튜브가 카톡의 MAU를 추월할 가능성이 큽니다.

국내에서 카톡이 수성해온 플랫폼 MAU 1위 자리를 외국 기업에 내줄 위기에 처한 것입니다.

(사진=카카오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