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아시안게임, 한국 종합 2위 탈환할 수 있을까…일본과 치열한 메달 경쟁

아시안게임, 한국 종합 2위 탈환할 수 있을까…일본과 치열한 메달 경쟁
▲  전지희(왼쪽)-신유빈

9월 23일 개막한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이 8일 폐막을 앞두고 막바지 메달 경쟁이 더욱 뜨거워지고 있습니다.

3일까지 한국은 금메달 32개, 은메달 42개, 동메달 65개를 따내 금메달 33개, 은메달 47개, 동메달 50개의 일본에 이어 메달 순위 3위를 달리고 있습니다.

금메달 160개를 넘긴 중국이 압도적인 1위입니다.

올림픽이나 아시안게임과 같은 메달 순위는 국제올림픽위원회(IOC)나 아시아올림픽 평의회(OCA)의 공식 순위가 아니고, 또 최근 '메달 색깔은 중요하지 않다'는 트렌드에 맞지 않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최근 올림픽이나 아시안게임 대회 공식 인터넷 홈페이지에 메달 순위 코너가 빠짐없이 들어 있고, 언론사마다 메달 순위를 보도하지 않는 곳이 없는 만큼 출전국 입장에서 전혀 신경을 쓰지 않기는 어려운 부분입니다.

대한체육회에서도 이번 항저우 아시안게임을 앞두고 금메달 50개, 종합 순위 3위를 목표로 내걸었습니다.

다만 직전 대회인 2018년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에서 일본이 금메달 75개, 한국이 49개였던 격차를 좁히겠다고 다짐했습니다.

그러나 대회 폐막이 불과 4일 앞으로 다가온 시점까지 일본과 금메달 격차가 1개에 불과하다 보니 내심 2014년 인천 대회 이후 9년 만에 '종합 2위 탈환'을 노리게 되는 것 또한 인지상정입니다.
안산

우선 한국과 일본은 남은 경기 일정에서 '메달박스' 종목을 하나씩 남겼습니다.

우리나라는 4일부터 금메달이 나오는 양궁에 기대를 걸고, 일본은 5일 시작되는 가라테가 '메달밭'이 될 전망입니다.

양궁은 2018년 대회에서 금메달 8개 중 4개를 한국이 따냈고, 가라테는 2018년 금메달 12개 중 역시 4개를 일본이 획득했습니다.

이번 대회 양궁은 10개, 가라테는 14개의 금메달이 걸려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양궁 외에 남은 일정에서는 소프트테니스, 배드민턴, 스포츠클라이밍, 축구, 육상, 야구, 브레이킹, 핸드볼, 레슬링 등에서 금메달을 기대합니다.

선전할 경우 목표치인 50개를 채울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여자 농구 준결승 한일전

일본올림픽위원회 관계자는 4일 "일본은 이번 대회 금메달 몇 개를 따겠다는 목표는 정하지 않았다"며 "종목별 상황에 따라 체조나 육상 등은 2진급 선수들이 왔고, 레슬링도 1.5군급 선수들이 출전했다"고 설명했습니다.

2진급 선수들이 온 종목은 세계선수권 등 다른 대회 일정과 겹친 경우고 수영, 탁구, 배드민턴 등 다른 종목은 1진 선수들이 출전했다는 것입니다.

남은 일정에서 금메달 가능성이 있는 종목을 예상해달라는 말에는 "아티스틱 스위밍, 배드민턴, 양궁, 레슬링, 가라테, 남녀 축구, 여자 배구, 야구, 브레이킹, 핸드볼, 하키, 소프트테니스 등"이라고 답했습니다.

특히 가라테 외에 금메달 6개가 걸린 여자 레슬링도 일본이 워낙 강한 종목입니다.

다만 2018년 자카르타·팔렘방 때는 일본이 여자 레슬링에서 '노 골드'에 그쳤습니다.

일단 남은 일정에서 한국은 양궁, 일본은 가라테와 여자 레슬링 등 강세 종목에서 얼마나 금메달을 휩쓰느냐가 2위 경쟁에 변수가 될 가능성이 큽니다.

또 축구, 야구, 핸드볼, 배드민턴, 소프트테니스 등 겹치는 금메달 종목 맞대결 결과 역시 메달 순위에 큰 영향을 미칠 전망입니다.

이미 여자 핸드볼은 결승에서 한국과 일본이 5일 대결하게 됐고, 축구와 배드민턴, 소프트테니스 역시 결승에서 '한일전' 성사 가능성이 있습니다.

여자 하키에서도 5일 준결승에서 한국과 일본이 결승 진출 티켓을 놓고 다툽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