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성묘 갔다 벌에 쏘이면…손 대신 '이것' 쓰세요

벌 쏘임 응급처치 방법 (사진=연합뉴스)

해마다 추석 무렵이면 벌 쏘임 사고도 증가합니다.

벌에 쏘이지 않는 게 최선이지만, 피치 못하게 쏘였을 경우 응급 대처 요령도 익혀둘 필요가 있습니다.

오늘(28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17∼2021년) 응급실 손상환자 심층조사에 참여하는 전국 23개 병원 응급실서 보고된 벌 쏘임 사고는 모두 5천457건이었습니다.

벌초와 성묘, 추수, 단풍놀이 등으로 야외활동이 증가하는 9월에 사고의 25.3%가 집중됐고, 10월에도 자주 발생했으며 평일보다는 주말에, 하루 중엔 오후 시간대에 사고가 잦았습니다.

응급실로 들어온 벌 쏘임 환자 중 5년간 24명이 사망할 정도로 위험하기 때문에 벌집이 있을 수 있는 산이나 숲에 갈 때는 특히 조심해야 합니다.

벌 쏘임을 예방하기 위해선 향수, 화장품, 스프레이 등 향이 있는 물품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벌은 어두운색 계열의 옷에 공격성을 보이므로 흰색 계열 밝은색 옷을 입는 것이 좋고, 긴 옷을 이용해 신체 노출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실수로 벌집을 건드렸을 때는 머리 부위를 감싸고 몸을 낮춘 채 최소 20m 이상 떨어진 곳까지 신속히 대피해야 합니다.

벌에 쏘였을 때는 신속히 벌침을 제거하는 것이 좋습니다.

깨끗한 손이나 소독된 핀셋으로 벌침을 제거하면 될 것 같지만, 이 경우 벌침에 가해지는 압력으로 인해 벌침에 남은 독이 체내로 흡수될 수 있어 위험합니다.

대신 신용카드 등으로 살살 긁어 벌침을 제거하는 게 바람직합니다.

쏘인 부위는 소독하거나 깨끗한 물로 씻은 후 얼음주머니 등으로 찜질하는 게 좋습니다.

벌에 쏘이면 통증과 가려움, 부기에 더해 식은땀, 두통, 구토 증상 등이 생길 수 있습니다.

사람에 따라 아나필락시스, 이른바 알레르기 과민반응이 나타날 수도 있으니 두드러기와 입술, 혀, 목젖의 부종, 가슴 답답함, 의식 저하 등 아나필락시스가 의심되는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119에 신고해야 합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