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7년 이상 돈 벌어 이자도 못 갚아…'만성 좀비기업' 903곳"

"7년 이상 돈 벌어 이자도 못 갚아…'만성 좀비기업' 903곳"
7년 이상 영업이익으로 이자 비용도 감당하지 못하는 '장기존속 한계기업'이 900곳을 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오늘(26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금융안정보고서에 실린 '장기존속 한계기업 현황·특징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한계기업은 3천903개로, 전체 외부 감사 대상 비금융법인(외감기업)의 15.5%에 달했습니다.

한계기업은 이자보상배율(영업이익/이자 비용)이 3년 연속 1 미만인 기업을 뜻합니다.

이 가운데 5년 이상 한계기업으로 분류된 '장기존속 한계기업'은 903개사로 집계됐습니다.

전체 한계기업의 23.1%에 해당합니다.

규모별로는 자산 1천억 원 이상 1조 원 미만 중견기업에서, 업종별로는 부동산, 운수(항공·해운 포함), 사업지원 등 서비스업에서 장기존속 한계기업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습니다.

지난해 장기존속 한계기업의 부실 위험(중위값 기준)은 5.67%로, 외감기업과 한계기업의 부실 위험(0.88%, 3.26%)을 크게 웃돌았습니다.

또한 기업의 취약 상태(이자보상배율 1 미만) 지속 기간이 길어질수록 1년 후 해당 기업이 정상기업(이자보상배율 1 이상)으로 회복되는 비율은 점차 낮아졌습니다.

지난 2021년 신규 취약 기업(취약 1년)의 36.6%, 신규 한계기업(취약 3년)의 22.6%가 지난해 정상 기업으로 회복됐습니다.

반면 장기존속 한계기업(취약 7년 이상)은 9.9%만 정상 기업으로 회복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해 말 장기존속 한계기업의 평균 자산은 1천291억 3천만 원, 매출은 648억 6천만 원으로 비한계기업의 0.67배, 0.4배에 불과했습니다.

반면 부채(1천127억 1천만 원), 차입금(645억 2천만 원), 이자 비용(35억 3천만 원)은 각각 비한계기업의 1.23배, 1.47배, 2.32배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현금 흐름 측면에서도 장기존속 한계기업은 차입 등 재무 활동을 통해 조달한 현금을 영업 손실 보전과 투자에 활용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장기존속 한계기업은 자산 규모, 업종에 따라 현금 흐름 양상에 차이를 보였습니다.

규모별로 보면 중견·대기업(자산 1천억 원 이상)은 차입을 확대해 영업 손실을 보전했지만, 중소기업들(1천억 원 미만)은 주로 자산 매각 등을 통해 대응했습니다.

특히 자산 1조 원 이상의 장기존속 한계기업은 영업 손실 상태가 지속되는 가운데서도 대규모 차입을 통해 투자를 확대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업종별로는 부동산업 장기존속 한계기업은 영업 현금 흐름 수지가 크게 악화하지 않는 수준에서 차입을 통한 투자 활동을 지속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운수·사업지원 장기존속 한계기업은 영업 흑자에도 높은 이자 부담으로 인해 한계기업 상태가 이어지는 가운데, 차입금 축소를 통해 이자 부담을 줄이는 방식으로 대응했습니다.

한은은 "자산 규모, 산업에 따라 장기존속 한계기업 간에도 부실 위험 등 건전성에 상당한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부실 기업에 대한 구조조정, 취약 기업에 대한 금융 지원 등과 같은 정책을 판단하고 실시할 때 한계기업 여부뿐 아니라 개별 기업의 재무 건전성, 자산 규모, 산업 특성 등을 함께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