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한국, 금메달 누적 3위…800개 달성 초읽기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차예은(태권도 품새), 강완진(태권도 품새), 전웅태(근대5종), 근대5종 남자 단체팀, 최인정(펜싱 여자 에페)

우리나라는 1951년 창설된 하계 아시안게임에서 이번 대회 전까지 통산 745개의 금메달을 따내 누적 금메달 순위 3위에 올라 있습니다.

중국이 2018년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까지 금메달 1,474개를 따내 1위, 일본이 1,032개로 2위입니다.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 개막 후 첫날인 어제(24일) 금메달 5개를 추가해 750개를 채웠습니다.

오늘부터 금메달 50개를 더 따내면 중국과 일본에 이어 하계 아시안게임 통산 금메달 800개를 달성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이번 대회 목표는 금메달 50개 이상으로 종합 3위에 오른다는 것이기 때문에 앞으로 메달 레이스에 따라 '통산 금메달 800개' 달성은 이번 대회에서 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으면 2026년 일본 나고야 대회로 미뤄집니다.

한국이 어제까지 따낸 하계 아시안게임 금메달 750개에는 2018년 자카르타·팔렘방 대회에서 남북 단일팀이 따낸 카누 금메달 1개는 빠져 있습니다.

한국 다음으로는 이란이 금메달 179개로 4위에 올라 있고, 금메달 110개인 북한은 8위입니다.

100개 이상 금메달을 획득한 곳은 중국, 일본, 한국, 이란, 인도(155개), 카자흐스탄(155개), 태국(132개), 북한, 타이완(100개)까지 9개 나라입니다.

금메달만 100개 이상씩 따내는 나라들이 있는가 하면 지금까지 메달이 하나도 없는 곳도 있습니다.

아시아올림픽평의회(OCA) 45개 회원국 가운데 아시안게임 메달이 '제로'인 나라는 3개국입니다.

부탄, 동티모르, 몰디브가 이번 대회에서 역대 첫 메달에 도전합니다.

이번 대회에는 몰디브가 선수 75명을 파견해 이 3개국 가운데 최대 규모를 기록했고, 부탄 26명, 동티모르는 23명의 선수단을 보냈습니다.

금메달이 없는 회원국은 이들 3개국 외에 아프가니스탄, 라오스, 네팔, 브루나이, 예멘, 팔레스타인까지 총 9개 나라입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