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3년 연속 'OECD 평균 이하' 저성장 위기 가시화

3년 연속 'OECD 평균 이하' 저성장 위기 가시화
한국 경제가 3년 연속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보다 낮은 성장률을 기록할 위기에 놓였습니다.

외환위기 이후 처음으로 대표적인 저성장 국가인 일본에 성장률이 역전되는 것도 확실시되고 있습니다.

기획재정부 등에 따르면 OECD는 지난 19일 발표한 중간 경제전망에서 올해 한국의 경제 성장률을 1.5%로 예상했습니다.

지난 6월 당시 전망치와 같은 수준입니다.

이 사이 미국은 1.6%에서 2.2%, 일본은 1.3%에서 1.8%, 프랑스는 0.8%에서 1.0%로 각각 성장률 전망치가 상향 조정됐습니다.

세계 경제와 주요 20개국(G20) 성장률 전망치도 종전보다 0.3%포인트씩 상향 조정됐습니다.

OECD는 매년 6월과 11월 회원국의 경제전망을, 3월과 9월에는 주요 20개국(G20) 중심의 중간 경제 전망을 발표합니다.

앞서 6월에 발표된 OECD 평균 성장률 전망치는 1.4%였지만, 최근 주요국들의 경기 회복 추세를 고려하면 11월 경제 전망에서는 상향 조정될 것으로 보입니다.

반면 한국은 현상 유지도 쉽지 않을 것으로 관측됩니다.

OECD는 1.5%의 성장률을 제시했지만, 정부와 한국은행, 국제통화기금(IMF)의 전망치는 1.4%로 더 낮습니다.

아시아개발은행(ADB)의 전망치는 1.3%로 더 비관적입니다.

하반기 들어 경제가 나아질 것이라는 '상저하고' 전망도 더딘 수출 회복세와 치솟는 유가에 점차 불투명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추세가 연말까지 계속된다면 올해 한국은 OECD 회원국 평균보다 낮은 경제 성장률을 기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한국은 이미 지난 2년 동안 OECD 평균 이하의 성장률을 기록했습니다.

지난 2021년 OECD 회원국 평균 성장률은 5.8%였으나 한국은 4.3%에 그쳤습니다.

지난해 한국의 성장률은 2.6%로 역시 OECD 회원국 평균 성장률, 2.9%보다 낮았습니다.

올해 성장률마저 OECD 평균을 밑돈다면 한국은 OECD 가입 후 처음으로 3년 연속 평균 이하 성장률을 기록하게 됩니다.

OECD 가입 이후 성장을 주도해오던 한국이 이제는 평균 성장률에도 못 미치는 '성장 중위권' 국가로 굳어지고 있는 것입니다.

2021∼2022년 2년 연속으로 OECD 평균 이하의 성장률을 기록한 나라는 한국 외에 라트비아, 스위스, 체코, 독일, 슬로바키아, 핀란드, 룩셈부르크, 일본 등입니다.

다만 일본은 하반기 들어 뚜렷한 경기 회복 추세를 보여 올해는 '평균 이하 그룹'에서 탈출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OECD 전망대로라면 한국은 외환위기 이후 처음으로 일본보다 낮은 경제성장률을 기록하게 됩니다.

전문가들은 최근 한국 경제가 일시적인 부진이 아닌 본격적인 '저성장 시대'에 돌입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우리나라도 이제 저성장이 '뉴노멀'인 국면에 접어들었다고 볼 수 있다"며 "향후에도 잠재성장률인 2% 안팎에서 소폭의 오르내림을 반복하는 수준으로 성장률이 유지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