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우크라이나전 러 병사들, 입대 후 평균 4개월 반 만에 전사"

"우크라이나전 러 병사들, 입대 후 평균 4개월 반 만에 전사"
우크라이나 전선에 투입된 러시아 장병이 평균 4.5개월만에 전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미국 시사주간 뉴스위크가 현지시간 21일 보도했습니다.

러시아 탐사보도매체 아이스토리스(Important Stories)와 비영리 조사단체인 '분쟁정보팀'(CIT)의 보고서에 따르면 1년 전 러시아 당국의 부분적 동원령 발령에 따라 새로 징집된 약 30만명과 관련한 사망 사례를 분석한 결과 입대 후 전사하기까지 기간이 이같이 나타났습니다.

이들 단체는 지난해 9월 21일 예비군을 대상으로 동원령이 공포된 이후 언론 보도와 공식 발표, 친인척의 언급 등으로 확인된 러시아군 전사자 약 3천명을 전수 집계했습니다.

그 결과 동원령으로 군에 입대한 이들의 절반 이상이 전선에 투입된 뒤 평균적으로 5개월이 채 안되는 사이에 전사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공개적으로 확인 가능한 전사자 중 5분의 1정도는 두 달도 생존하지 못했습니다.

부분적 동원령으로 징집됐다가 전사한 이들의 절반 이상은 30세에서 45세에 해당했습니다.

20대가 3분의 1 정도였고, 이중 25세 미만은 10분의 1이었습니다.

최연소 전사자는 19세, 최고령은 62세였습니다.

열아홉의 나이로 전장에서 숨진 병사는 러시아 로스토프 지역 출신의 안톤 게트만으로, 군 복무가 끝난 지 석 달 만에 다시 입대했다가 2022년 11월 전사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파악된 전사자 중 11개월 이상 생존한 경우는 4명에 불과했다고 뉴스위크는 설명했습니다.

보고서에는 러시아군 장병들이 제대로 휴식을 취하지 못하고 있다는 내용도 있었습니다.

아이스토리스와 CIT는 "징집된 많은 장병이 11개월 동안 복무했는데도 한 번도 집에 돌아가지 못했다고 불평하고 있다"며 "일단 동원되고 나면 참전을 거부할 수 없으며, 탈영 시 적용되는 형사처벌 수준도 강화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러시아가 군인들에게 휴가를 부여하지 않는 것은, 휴가를 떠난 이 가운데 절반만 복귀할까 봐 두렵기 때문"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영국 국방부도 최근 보고서에서 "우크라이나에 주둔 중엔 러시아군이 충분한 휴식을 취하지 못해 사기 저하에 시달리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정기적인 순환근무가 이뤄지지 않는 점,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이후 제대로 된 훈련을 못하는 점 등이 사기 저하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사진=AP,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