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독일 통일 33년 지났지만 지도층서 동독 출신은 여전히 소수

독일 통일 33년 지났지만 지도층서 동독 출신은 여전히 소수
▲ 베를린 장벽

독일이 통일을 이룬 지 33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정·재계 등 사회 지도층에서 동독 출신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독일 DPA통신 등 독일 언론은 20일(현지 시간) 발간된 '엘리트 모니터' 보고서를 인용해 독일의 정계와 재계, 법조계, 언론계, 문화계 고위층 가운데 동독 출신의 비율이 2022년 기준 12.2%로 집계됐다고 보도했습니다.

이는 2018년 10.8%보다는 높아졌지만 독일 인구 중 20%인 동독 지역 출신 비율에 비해서는 크게 낮은 것입니다.

심지어 옛 동독 지역에서조차 고위층에서 동독 출신자 비율은 낮았습니다.

이 보고서는 2018년보다 비율은 높아졌지만 장기적 상승세는 보이지는 않았다고 지적했습니다.

이번 보고서는 예나대학과 라이프치히대학, 괴를리츠·치타우대학 연구진이 작성해 카르스텐 슈나이더 동독특임관 겸 연방총리실 정무차관이 발표했습니다.

연구진은 사회 엘리트층으로 분류한 3천 개 정도의 직종 4천여 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그 결과 분야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고위층은 서독 출신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군과 사법부, 기업 고위직에서 동독 출신의 비율은 5%에 미치지 못했습니다.

정계에서는 주 단위에서 동독 출신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는데, 연방 단위로는 13%에 그쳤습니다.

연구진은 이런 현상의 원인으로 동독이 연방에 편입되는 과정에서 일어난 사회 체계의 변화를 지목했습니다.

법학과 경제학, 사회과학 등 동독에서 취득한 일부 대학 학위가 제대로 인정받지 못하는 등 동독 출신 지도층 인사가 서독 지역에서 통용되는 고위직 자격 기준을 맞추지 못하는 일이 생겼다는 것입니다.

또 관리자 직위 이상에서는 영어 실력이 중시되는데, 서독에서 영어 교육이 더 널리 이뤄진 영향도 있었을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설문조사에서도 자신이 고위직까지 올라갈 것으로 예상하는 동독 출신이 서독 출신보다 적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