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이 사람이 민원 학부모"…대학생 된 자녀 찾아가 '자퇴해' 피켓

<앵커>

대전에서 숨진 교사에게 민원을 제기했던 사람들의 신상이 무분별하게 공개되는 일이 있었죠. 그런데, 2년 전 정부의 한 초등학교 교사가 숨진 사건과 관련해서도, 당시 민원을 넣은 학부모와 학생의 신상이 공개돼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민경호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선생님한테 돈 뜯어서 수술했다는 손가락인지 좀 보자"

최근 생성된 한 SNS 계정에 올라온 게시물입니다.

2년 전 경기 의정부의 한 초등학교에서 초임 교사 한 명이 학부모의 악성 민원에 시달리다 극단적 선택을 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는데, 당시 민원을 제기했던 학부모와 학생이라며 이들의 신상을 공개한 겁니다.

2016년 수업 도중 페트병을 자르다 학생이 손가락을 다친 뒤 학부모가 교사에게 지속적으로 보상을 요구했던 걸로 알려졌습니다.

이 계정 운영자는 지금은 대학생이 된 학생의 학교까지 찾아가 자퇴하라는 등의 피켓도 내걸었습니다.

계정 운영자는 "선생님께 무슨 일이 있었는지 억울한 것을 모두 밝히겠다"고 적었습니다.

앞서 대전에서도 극단적 선택을 한 초등교사에게 민원을 제기한 걸로 지목된 학부모들의 신상이 공개되면서 이들이 운영하는 가게는 문을 닫기도 했습니다.

전문가들은 무분별한 신상 공개가 또 다른 피해를 낳을 수 있고, 자칫 명예훼손 등 범죄로도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합니다.

[곽대경/동국대 경찰행정학과 교수 : 피해자나 그 주변의 유족들이 원치 않는 고통스러운 기억들이 계속해서, 반복해서 사람들 입에 오르고 재생이 되는 (피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사적 제재의 확산을 막기 위해서는 교권 보호를 위한 교육 당국의 대책 마련과 교사 사망 사건에 대한 철저한 조사가 병행돼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말합니다.

(영상취재 : 조창현, 영상편집 : 오영택)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