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이란, 한국에 '동결 자금 이자'까지 요구할 듯

이란, 한국에 '동결 자금 이자'까지 요구할 듯
국내 은행에 동결됐다가 최근 미국의 제재 일부 해제로 이란으로 송금 중인 석유 수출대금과 관련해 이란 정부가 이들 은행에 이자까지 청구하는 방안을 추진 중입니다.

오늘(18일) 복수의 이란 외교 소식통에 따르면 이란 정부는 미국의 대이란 경제·금융 제재로 지난 4년여간 한국은행, IBK기업은행, 우리은행 등 국내 은행 3곳에 예치됐던 약 60억 달러(약 8조 원)에 대한 이자를 받기 위해 법적 검토에 착수했습니다.

이란 정부 관계자는 "미국의 불법적 제재로 한국 내 금융기관(은행)에 동결됐던 우리의 석유수출 대금으로 이들 금융기관이 부당하게 이자 소득을 얻었다"며 "돈의 주인에게 이자를 돌려주는 게 당연하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우리의 석유자금이 한국에 처음 묶였을 때는 달러당 1천100원대였는데 지금은 원화 가치가 하락해 1천300원이 넘는다"며 "원화를 유로화로 환전해 송금되기 때문에 큰 손해를 보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 같은 환율 변동으로 동결자금 총액의 10%(약 8천억 원)를 손해 봤다는 게 이란 측의 추산입니다.

이와 관련, 이란 반관영 타스님뉴스는 16일(현지시간) "한국 내 동결자금이 카타르를 통해 이란중앙은행으로 송금되더라도 수년간의 동결에 따른 손해를 한국 측에서 배상받도록 이란 정부는 노력하기로 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이어 "이란 정부는 한국이 손해배상을 하도록 법적 절차를 이어갈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미국은 지난달 이란과 수감자를 맞교환하기로 합의하면서 그 대가로 한국 내 은행에 동결된 이란의 원유 수출대금을 해제했습니다.

이 수출대금은 한국 내 은행에 개설된 이란중앙은행 등 이란 금융기관의 원화결제계좌에 예치돼 양국의 무역 결제에 쓰였지만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의 대이란 제재 복원으로 2019년 5월부터 동결됐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