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8월 취업자 26만 8천 명 증가…남성 · 제조업 취업자는 감소

8월 취업자 26만 8천 명 증가…남성 · 제조업 취업자는 감소
취업자 수가 두 달 연속으로 20만 명대 늘었습니다.

집중호우 영향으로 큰 폭 둔화했던 지난 7월보다 다소간 증가세를 회복했으나, 남성·제조업·청년 취업자는 감소했습니다.

오늘(13일) 통계청이 발표한 '8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천867만 8천 명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26만 8천 명 늘었습니다.

올해 들어 30만∼40만 명 안팎을 유지했던 증가 폭이 7월 들어 21만 1천 명으로 크게 좁혀졌다가, 8월에는 20만 명대 중반으로 늘어난 것입니다.

증가 폭이 전월보다 확대된 것은 지난 3월 이후 5개월 만입니다.

성별로는 여성 취업자가 28만 1천 명 늘어났지만, 남성 취업자는 1만 3천 명 줄었습니다.

남성 취업자 감소는 지난 7월(-3만 5천 명)에 이어 두 달째입니다.

남성 취업자가 많은 제조·건설·도소매업에서 취업자가 줄고 고령층 취업자도 여성 중심으로 늘었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제조업 취업자는 6만 9천 명 줄면서 8개월째 감소세를 이어갔습니다.

감소 폭은 지난 4월(-9만 7천 명) 이후 최대폭입니다.

건설업 취업자도 9개월째 줄었지만 감소 폭은 1천 명에 그쳤습니다.

연령대별로 보면 60세 이상에서 취업자가 30만 4천 명 늘었습니다.

60세 이상을 제외한 나머지 연령대에서는 취업자 수가 3만 6천 명 감소한 셈입니다.

청년층(15∼29세)에서 10만 3천 명, 40대에서 6만 9천 명 각각 감소했습니다.

청년층은 10개월째, 40대는 14개월째 취업자가 줄어든 것입니다.

청년층 취업자 감소는 청년 인구 감소에 기인한 측면이 있지만, 인구 대비 고용률(47.0%)로 봐도 1년 전보다 0.3%포인트 내려 7개월째 하락했습니다.

종사상 지위별로 보면 상용근로자는 39만 3천 명 증가했으나, 일용근로자는 14만 9천 명, 임시근로자는 1만 4천 명 각각 감소했습니다.

일용직은 올해 4월부터 5개월째 줄었는데, 집중호우 타격이 컸던 지난 7월(-18만 8천 명)보다는 감소 폭이 줄었습니다.

풀타임으로 분류되는 36시간 이상 취업자는 100만 명 줄었습니다.

조사 대상 주간에 8·15 광복절이 포함된 영향이라고 통계청은 설명했습니다.

비경제활동인구는 1천616만 3천 명으로 1년 전보다 8만 3천 명 줄었습니다.

'쉬었음' 인구가 8만 3천 명 늘었으나 육아(-10만 5천 명), 가사(-5만 명) 등에서 줄었습니다.

'쉬었음' 인구는 20대와 30대에서 각각 2만 8천 명(8.0%), 3만 8천 명(15.1%) 늘었습니다.

구직단념자는 40만 6천 명으로 6만 1천 명 감소했습니다.

15세 이상 고용률은 63.1%로 통계 작성 이래 8월 기준 역대 최고였습니다.

15∼64세 고용률도 69.6%로 같은 달 기준으로 가장 높았습니다.

실업자는 4만 1천 명 감소한 57만 3천 명으로, 역대 1∼12월 실업률 가운데 최소치를 기록했습니다.

실업률도 전월을 통틀어 역대 최소였습니다.

서운주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돌봄 수요와 외부 활동 증가에 따른 취업자 증가세가 지속됐다"며 "지난 7월 집중호우로 둔화했던 취업자 증가 폭이 8월에는 확대했다"고 말했습니다.

서 국장은 "청년층 취업자 수가 좋은 상황은 아니지만 20대 후반은 고용률이 나쁘지 않다"며 "20대 초반은 재학 비율이 높아지면서 비경제활동인구로 빠졌다"고 설명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