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중, '아이폰 금지령' 즉답 피한 채 "미국이 중국 기업 탄압" 비난

중, '아이폰 금지령' 즉답 피한 채 "미국이 중국 기업 탄압" 비난
중국 당국이 공직자들에게 '아이폰 사용 금지령'을 내렸다는 보도에 대해 중국 외교부는 즉답을 피한 채 미국의 중국 기업 제재가 문제라고 비판했습니다.

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오늘(8일) 정례 브리핑에서 "미 하원 미중전략경쟁특위 위원장이 '중국이 아이폰 사용을 금지한 것은 미국 기업의 시장 진입 제한을 시도하고 중국 업체의 발전을 촉진하려는 시도'라고 했는데 어떻게 보는가"라는 질문에 "어떤 국가의 상품·서비스라도 중국의 법규에 부합하기만 하면 우리는 중국 시장에 들어오는 것을 환영한다"고 답했습니다.

또 "중국은 시종 높은 수준의 대외 개방을 확고하게 추진하고 있다"며 "이는 개별 국가가 소위 '국가 안보' 개념과 민의를 남용해 중국 기업을 탄압·억제하는 것과는 본질적으로 다르다"라고 말했습니다.

앞서 미 월스트리트저널은 지난 6일 중국 정부기관 소속 일부 공무원이 몇 주 전부터 아이폰을 비롯한 외국 브랜드 기기를 사용하지 말라는 명령을 받았다고 전했습니다.

이어 지난 7일 블룸버그통신은 중국 당국이 일부 민감 분야 정부 부서에 내린 아이폰 금지령을 국영 기업 등으로 확대하려 한다고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습니다.

이런 보도로 애플의 시가총액은 이틀 만에 1천897억 달러, 우리 돈 253조가 날아간 상태입니다.

이날 중국 외교부는 미 상무부가 제재대상인 중국 화웨이의 신형 스마트폰 '메이트 60 프로'의 제재 위반 여부 등에 대한 조사에 착수한 일을 두고도 '부당한 탄압'이라며 반발했습니다.

메이트 60 프로는 중국 최대 파운드리 기업인 SMIC가 공급한 7나노미터 공정 프로세서를 적용한 프리미엄 스마트폰입니다.

화웨이와 SMIC는 미 상무부 거래제한 명단에 오른 수출규제 대상인데, 고강도 제재에도 중국이 최신 제품을 생산했다는 비판이 일자 미 상무부는 이 스마트폰의 7나노 공정 프로세서에 대해 조사를 시작했다고 밝혔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