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비수도권도 전셋값 상승 전환…역전세 해소되나?

비수도권도 전셋값 상승 전환…역전세 해소되나?
전국 아파트 매매·전세 가격이 전주보다 모두 상승한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특히 전셋값의 상승 폭이 크게 확대됐습니다.

이에 그간 전셋값이 하락하면서 나타났던 '역전세' 우려를 덜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옵니다.

오늘(7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9월 첫째 주(지난 4일 기준) 아파트 매매·전세가격 동향에서 전국 매매가격은 전주보다 0.07% 상승했으며, 전세가격도 0.09% 오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로써 전국 전세가격은 7주 연속 상승세를 보였고, 상승 폭도 매주 커지고 있는 겁니다.

서울의 전세가격은 0.17% 올라 전주(0.14%)보다 상승 폭을 키웠고, 서울의 상승세에 수도권도 전주보다 0.04%포인트 오른 0.18%의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특히 꾸준히 낙폭을 줄이다 최근 2주 연속 보합을 기록한 비(非)수도권(0.01%)이 상승 전환에 성공했습니다.

비수도권 전세가격이 상승 전환한 것은 지난해 5월 첫째 주 이래 70주 만입니다.

시도별로 보면 서울(0.17%), 경기(0.20%), 세종(0.20%), 인천(0.12%) 등은 상승했고, 전북(0.00%), 전남(0.00%), 경남(0.00%)은 보합, 부산(-0.03%), 제주(-0.02%), 대구(-0.02%), 충남(-0.01%) 등은 하락했습니다.

서울은 전반적인 전세 매물 부족 상황 속에 매수 문의가 꾸준히 유지되는 분위기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그중에서도 주거 여건이나 수리 상태가 양호한 단지 위주로 상승 거래 후 매도호가 상승세가 유지되는 모습입니다.

매매가격도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전국 매매가격(0.07%)은 전주보다 0.01%포인트 오르며 8주 연속 상승 중입니다.

서울(0.11%)은 16주째 상승세를 유지했으나, 상승 폭은 전주보다 0.02%포인트 줄었습니다.

수도권(0.11%)도 상승 폭이 전주보다 0.01%포인트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서울은 급매물 소진 후 매수자의 관망세가 짙어진 것이 상승 폭 축소의 배경으로 관측됩니다.

자치구별로 보면 송파 0.24%, 마포 0.18%, 용산 0.17%, 양천 0.17%, 강동 0.17% 등이 서울 평균보다 높은 상승률을 나타냈습니다.

경기도(0.13%)는 과천시(0.40%), 화성시(0.38%), 하남시(0.34%) 등이 수주째 큰 폭의 상승률을 기록하는 가운데 상승 폭을 키웠습니다.

지방에선 전주 보합을 기록한 5대 광역시가 0.03% 오르며 상승 전환했습니다.

대구(0.03%→0.07%), 대전(0.05%→0.07%) 등이 상승 폭을 키운 가운데 세종이 일부 지역의 하락 거래로 보합 전환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