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서울백병원 오늘 마지막 진료…교직원들 "폐원은 무효" 반발

서울백병원 오늘 마지막 진료…교직원들 "폐원은 무효" 반발
"제 진료 교수님이 어디로 가시는지 혹시 알 수 있을까요?"

서울백병원이 마지막 진료를 끝으로 폐원하는 오늘(31일) 병원 창구는 진료의뢰서 등 서류를 발급받는 환자들로 붐볐습니다.

창구 직원들은 담당 의료진 거취를 묻는 질문이 이어지자 "저희도 모른다. 직접 문의하셔야 한다"며 연신 진땀을 뺐습니다.

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에 따르면 오늘 오후 5시부터 병원의 외래, 응급실, 입원 등 모든 환자 진료가 종료될 예정입니다.

이로써 1941년 일제강점기에 '백인제외과병원'으로 시작한 서울백병원의 83년 진료 역사가 끝나게 됐습니다.

서울 중구 내 유일한 대학병원이 없어지는 것이기도 합니다.

폐원을 의결한 인제학원 측과 교직원 간 갈등은 진행 중입니다.

폐원에 반발하는 서울백병원 교직원들은 오늘 입장문을 내고 "폐원을 인정할 수 없으며 결정 과정에서 발생한 불법·부정 관련자들은 모두 처벌받아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사립학교법과 법인 정관을 따라 대학평위원회 심의를 거치고 교직원과 학생 의견을 수렴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사회 의결이 무효라는 주장입니다.

병원에 따르면 서울백병원은 지난 20년간 계속해서 적자를 내 누적적자가 1천740억 원을 넘었습니다.

이로 인한 경영난을 타개하기 위해 지난 2016년부터 경영정상화 TF를 운영해 병상수와 인건비 등을 줄이고 리모델링 등에 매년 30∼50억 원을 투자했지만 회복하지 못했다는 설명입니다.

이에 지난 6월 학교법인 인제학원 이사회에서는 경영정상화 TF가 제안한 서울백병원 폐원안을 의결, 통과시켰습니다.

학원 측은 "새 병원 건립과 미래혁신데이터센터 운영, 수익사업, 매각 등 다양한 방안을 심도있게 논의할 것이고 그로부터 창출되는 재원은 전부 형제병원에 재투자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노조와 교수협의회 등 교직원이 이에 반발하고, 서울시도 서울백병원 부지를 의료시설로만 쓸 수 있도록 도시계획시설로 결정하는 방안을 추진하며 폐원을 둘러싼 갈등은 격화됐습니다.

서울백병원 교수 24명과 직원 240명은 지난 5일 학교법인 인제학원을 상대로 서울백병원 폐원 결의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을 내 법정공방이 진행중입니다.

교직원 측 법률대리인은 "정관을 위반한 폐원 결의로 절차적인 문제도 있다"며 "폐원은 교지 축소와 마찬가지라 용도 변경에 해당하기에 사립학교법에 따라 교육부의 승인을 받아야 하는데 그러지 않았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에 대해 학원 측은 "20년에 걸친 경영악화에도 7년 동안 경영정상화 TF를 운영하며 회생 방안을 다각도로 모색했으나 자구적인 노력으로는 유지가 어렵다"고 반박했습니다.

가처분 신청 외에도 인제대학교 교수들은 "재단이 서울백병원의 적자를 고의로 과장해 폐원이 불가피한 것처럼 위장했다"고 주장하며 28일 교육부에 인제학원 감사를 청구하는 요청서와 탄원서를 제출한 바 있습니다.

폐원 이후 직원들은 수도권과 부산 백병원으로 근무지를 옮길 예정입니다.

이에 교직원들은 "원하지 않는 발령지에 강제로 낸 전보"라며 법인에 발령 취소를 요구했습니다.

학교 측은 "전보 대상 직원 중 40% 넘는 숫자가 상계·일산백병원 등 수도권으로 발령이 났다"며 "다른 지역 병원에 직원들이 안착할 수 있도록 최대한 지원하겠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환자들의 편의를 위해 내년 2월까지 통합발급센터를 운영해 영상기록을 포함한 의무기록 사본 등의 서류를 발급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