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국방비서관, 채상병 사건에 "해병대 사령관과 7월 31일 통화 안해"

임기훈 국가안보실 국방비서관은 30일 해병대 채모 상병 순직 사건의 경찰 이첩 보류와 관련해 "7월 31일 해병대 사령관과 통화한 적이 없다"고 밝혔습니다.

임 비서관은 이날 국회 운영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7월 31일 해병대 사령관과 통화한 사실이 있느냐'는 더불어민주당 윤준병 의원 질의에 이같이 답했습니다.

임 비서관은 이번 사태와 관련해 김계환 해병대 사령관과 통화한 인물로 일부 언론에 거론돼 왔습니다.

김계환 해병대사령관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이 최근 국방부 검찰단에 제출한 진술서와 녹취 파일 등에 따르면 박 전 단장은 지난 7월 31일 김 사령관으로부터 '청와대 군사 보좌관'과 통화했다는 설명과 함께 "오전 대통령실에서 VIP(대통령) 주재 회의에서 1사단 수사 결과에 대한 언급이 있었고 VIP가 격노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고 했습니다.

임 비서관 답변은 이종섭 국방부 장관이 결재했던 해당 사건의 경찰 이첩이 7월 31일 갑자기 보류되고 같은 날 언론 브리핑도 취소된 배경에 대통령실 외압이 작용했다는 의혹을 부인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임 비서관은 군당국으로부터 언론 브리핑 자료를 제출받은 과정과 관련해 이 장관을 거명했다가 이후 이를 거둬들이기도 했습니다.

그는 민주당 김영배 의원의 관련 질의에 "언론 브리핑 자료를 확인하라고 제가 해당 행정관에게 얘기했다"며 "제가 자의적으로 판단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다음날 언론 브리핑 사실을 어떻게 인지했느냐'는 김 의원 질의에 "국방장관과 사전에, 그 다음날 14시에 (브리핑이) 있다는 걸 인지하고 있었다"고 답한 뒤, 통화 시점을 두고서는 "안보 현안을 갖고 수시로 통화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장관으로부터 31일 2시 언론 브리핑 사실을 들었다고 한 것 아니냐'는 추가 질의에 "여러 경로의 출처를 통해서"라며 "통상적인 언론 브리핑 자료는 공유한다"고 말했습니다.

임 비서관은 이후 "수사계획서는 수사단에 요구한 적이 단 한 번도 없다"며 "담당 행정관이 수사단장에게 조사가 진행될 텐데 자료가 필요한 것이 있냐 해서 수사단장이 준 게 1장짜리 타이핑된 자료"라고 밝혔습니다.

이어 "언론 브리핑이 있다는 것은 여러 경로를 통해 알고 있었기에 확인해 보라고 (행정관에게) 했고 30일 저녁에 (브리핑 자료가) 전달된 것으로 이해하는데 실제 제가 받아본 것은 31일 아침이었다"며 "아까 국방장관을 말했는데 언론 브리핑이 31일 예정돼 있다는 것을 알게 된 것은 장관(을 통해서)이기 보다는 국방부와 지속적인 소통을 하다 알게 된 것"이라고 해명했습니다.

조태용 국가안보실장도 '국방비서관과 해병대사령관이 통화했다는 보도가 있다'는 윤 의원 질의에 "저뿐 아니라 국방장관과 해병대 사령관도 사실이 아닌 것으로 얘기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