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강행 일본…30년가량 이어질 전망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강행 일본…30년가량 이어질 전망
일본이 국내외에서 제기되는 반대를 무릅쓰고 오늘(24일) 오후 1시쯤,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오염수(일본 정부 명칭 '처리수')의 해양 방류를 강행했습니다.

방류는 오늘 시작했지만 언제쯤 끝날지는 불투명합니다.

후쿠시마 제1원전에는 이미 약 134만 t의 오염수가 1천여 개의 대형 탱크에 들어 있으며, 현재도 원전 부지로 유입되는 지하수와 빗물 등으로 인해 오염수가 추가로 발생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오염수 방류가 대체로 30년가량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지만, 기간을 확언하기는 어렵습니다.

결국 향후 방류 과정에서 일본 어민들이 걱정하는 피해나 바다 생태계를 비롯한 환경 영향 등에 대한 논란은 언제든 다시 불거질 수 있습니다.

2021년 4월 스가 요시히데 당시 일본 총리가 해양 방류를 오염수 처리 방식으로 공식 결정한 뒤 이에 대한 반대 의견은 2년 넘게 꾸준히 제기돼왔습니다.

물론 일본 정부나 도쿄전력으로서는 오염수를 보관할 탱크가 갈수록 늘어나는 만큼 해결책을 찾아야 하는 상황입니다.

게다가 저장탱크를 계속 증설해가면 2041∼2051년 완료 목표인 사고 원전 폐쇄 작업에 지장을 초래해 곤란하다는 게 일본 정부의 설명입니다.

하지만 전 세계 바다로 방사성 오염수를 방류한다는 계획에는 쉽게 동의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실제 일본 내에서조차 당시 일본 정부의 해양 방류 결정이 나온 뒤 민간 단체 등이 "바다를 핵 쓰레기장으로 만들겠다는 얘기"라며 반대 운동에 나섰고 현재도 반대 목소리를 내고 있습니다.

물론 일본 정부는 다핵종제거설비(ALPS·알프스)로 삼중수소를 제외한 방사성 핵종을 제거하고 제거가 어려운 삼중수소는 바닷물로 희석해 국제기준에 맞는 농도로 방류하겠다는 계획입니다.

하지만 불신은 사라지지 않고 있습니다.

실제 아사히 신문이 지난 19∼20일 1,042명을 상대로 실시한 설문 조사에서도 해양 방류에 반대한다는 응답자가 41%로 '찬성'(53%)보다는 적었지만 상당수에 이르렀습니다.

물론 그동안 일본 정부의 전방위 설득과 홍보에 따라 찬성 의견이 늘어나기는 했습니다.

작년 2월 조사에서는 '찬성' 42%, '반대' 45% 였습니다.

여기에는 일본 정부와 도쿄전력이 원전 사고와 그 후 대응 과정에서 보여온 미숙함과 이로 인해 쌓인 불신감이 반영돼 있습니다.

도쿄전력은 2014년 오염수가 바다로 흘러 들어가는 정황을 파악하고도 이를 장기간 공표하지 않아 불리한 사실을 은폐했다는 지적을 산 바 있습니다.

당시 도쿄전력은 '원인 규명에 신경을 쓰다 보니 적시에 공표하지 못했다'는 취지로 해명했으나 공감을 얻기는 어려웠습니다.

2021년 2월에는 후쿠시마에 규모 7.3의 강진이 발생한 것을 계기로 도쿄전력이 고장 난 지진계를 방치한 사실이 드러나면서 위험 관리 태세에 대한 의문을 키우기도 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