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뉴블더] '팁' 문화 시작됐다…"배달비처럼 되나" 우려도

해외여행 갈 때 고민하게 되는 게 바로 팁이죠.

특히 미국처럼 팁 문화가 강한 나라를 가게 되면 팁을 어떤 상황에서 주고 또 얼마를 줘야 하나 이런 고민에 빠지게 됩니다.

식당 같은 경우에는 적게 주자니 앞에 서 있는 종업원 눈치가 보이고 또 많이 주기에는 아깝다는 생각이 들죠.

그런데 외국에서만 보던 이런 팁 문화가 국내에서도 자꾸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지난달 택시 호출 플랫폼인 카카오T가 택시 기사님께 팁을 줄 수 있는 기능을 도입했습니다.

목적지에 도착한 뒤 서비스 별점을 만점으로 주면 1천 원, 1천500 원, 2천 원 중에 골라서 팁을 줄 수 있습니다.

카카오 모빌리티는 어디까지나 승객의 자율적인 선택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또 서비스 도입 후 일주일 동안 하루 평균 승객 1천900명이 팁을 준 것으로 집계됐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그럼, 소비자 반응은 어떨까요? 안 그래도 택시요금이 비싸진 마당에 승객 부담이 더 커질 거라는 의견이 훨씬 많은데요.

택시 팁 도입에 대해서 소비자 1천 명에게 물어봤더니 이렇게 10명 중 7명이 반대하는 걸로 나타나기도 했습니다.

매우 긍정적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겨우 4%에 그쳤습니다.

그런데 팁을 둘러싼 논란은 팁 문화의 고향인 미국에서 오히려 더 시끌시끌합니다.

미국에서 팁 관행이 시작된 건 1800년대 말로 알려졌습니다.

처음에 서비스가 좋았다면 얹어주는 개념이었지만 지금은 거의 의무적으로 줘야 하는 게 관례가 됐죠.

부족한 종업원 임금을 손님 팁으로 대신하는 업소가 많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서비스가 좋지 않더라도 보통 주문 금액의 15%, 많게는 30%까지 팁으로 내는 게 일반적인 게 됐습니다.

이런 관행적인 팁 문화를 두고 크고 작은 갈등은 수년 전부터 끊이지 않았습니다.

계산서에 이미 팁이 포함돼 있는데 추가 팁까지 요구하다가 손님들에게 소송을 당한 식당도 있었습니다.

[스펜서/변호사 (SBS 8뉴스 중, 지난 2015년) : 봉사료를 자동 포함 시켜놓고 그 밑에 또 팁 액수를 적으라는 건데 봉사료와 팁이 뭐가 다른 거죠?]

최근에는 무인 키오스크로 셀프 계산을 하고도 팁을 요구하는 자동 팁 안내 서비스도 등장했습니다.

서비스를 받은 게 없는데 팁을 내라고 하니 불만이 커질 수밖에 없죠.

여기에다 최근 국제적인 고물가 상황에서 팁 때문에 물가가 더 오른다는 의미로 팁플레이션이라는 신조어까지 나왔습니다.

미국에서도 이런데 우리나라에서 도대체 왜 팁 문화를 도입하냐는 반응이 나오는 게 당연해 보이기도 합니다.

여기에다 국내 현행법으로 엄밀하게 따졌을 때 팁을 요구하는 게 불법이라는 해석도 나오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식품위생법에서는 음식점 등은 가격표에 팁 같은 봉사료를 포함한 최종 가격을 표기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쉽게 말해 점주나 점원이 팁을 직접 요구하는 경우에는 위반이 된다는 겁니다.

다만 손님이 원해서 자발적으로 팁을 내는 거라면 원칙적으로는 불법은 아니라는 해석도 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