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잼버리 야영장서 감염병 · 벌레물림 등 환자 8천여 명 발생

잼버리 야영장서 감염병 · 벌레물림 등 환자 8천여 명 발생
▲ 세계스카우트 잼버리 클리닉센터 현장 모습

2023 새만금 세계스카우트잼버리에서 대원들이 영지를 떠나기 전 약 일주일간 환자가 8천여 명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야영지에서 숙영한 참가자 수는 청소년 대원들과 성인 지도자들을 합하면 4만 3천여 명입니다.

오늘(21일) 더불어민주당 신현영 의원실이 질병관리청에서 받은 '새만금 잼버리 현장대응팀 일일상황 보고'를 보면 지난 7월 29일부터 8월 7일까지 감염병, 벌레물림 등으로 인한 누적 환자는 8천500명입니다.

참가자들은 태풍 '카눈'의 영향으로 8일 오전부터 전원 퇴영을 시작, 전국으로 흩어졌습니다.

질환별 발생 현황을 보면 벌레물림이 2천142명으로 가장 많았고, 일광화상 1천433명, 피부병변 1천59명, 온열손상 712명, 코로나19 검사(의심 포함) 553명, 상기도감염 403명 순이었습니다.

나머지 2천198명은 '기타'로 분류됐습니다.

코로나19 검사를 받은 553명 중 양성 판정을 받은 사람은 170명이었습니다.

외국인이 141명, 내국인이 29명입니다.

생활시설에 입소한 사람은 112명, 집으로 돌아간 사람과 본국에서 마련한 별도 숙소로 이동한 사람은 각각 29명입니다.

일별 양성률을 보면 행사 시작일인 1일에는 17.6%, 개영식이 열린 2일에는 19.6% 등 점차 증가세를 보이다가 마지막 날인 7일에는 40.6%까지 치솟았습니다.

코로나19 외에 엠폭스, 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 등 다른 감염질환은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이런 가운데 잼버리 조직위원회가 당초 꾸린 의료진은 의사 45명 등 176명에 불과해 '의료 대란'이 발생했었습니다.

조직위 측은 행사 중 뒤늦게 의료진을 긴급 지원받았습니다.

신현영 의원실이 보건복지부에서 확보한 자료에 따르면 잼버리 개영 후 추가 투입된 의료진은 국립중앙의료원 11명, 대한적십자사 6명, 민간 102명, 전라북도 235명 등 총 364명입니다.

신 의원은 "폭염, 해충, 코로나19 등 의료수요를 증가시킬 여러 요인에 대한 예측 실패가 현장의 혼란을 가져왔던 것으로 확인됐다"라며 "의료선진국인 대한민국에서 열린 대규모 국제행사에서 적절한 의료대응이 이뤄지지 못한 원인을 성찰해야 한다"라고 말했습니다.

(사진=대한간호협회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