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북한 해킹조직 '김수키', 한미연합연습 겨냥 사이버 공격

북한 해킹조직 '김수키', 한미연합연습 겨냥 사이버 공격
해킹 공격 개요도 (사진=경기남부경찰청 제공, 연합뉴스)

북한 해킹조직인 '김수키'(Kimsuky)가 한미연합연습을 겨냥해 사이버 공격을 시도한 정황이 확인됐습니다.

경기남부경찰청 안보수사과는 한미 연합 군사연습인 '프리덤 실드(자유의 방패·FS)' 전투모의실에 파견된 국내 워게임(War Game) 운용업체 A사 직원들을 대상으로 지난 2월부터 3월까지 수차례 발송된 악성 전자우편 사건을 수사한 결과 김수키의 소행으로 파악됐다고 오늘(20일) 밝혔습니다.

김수키는 지난해 4월부터 A사를 해킹하기 위해 악성코드가 담긴 전자우편 공격을 지속해 지난 1월 A사 소속 행정 직원의 전자우편 계정을 탈취하고, 컴퓨터에 악성코드를 심는 데에 성공했습니다.

김수키는 이후 원격 접속을 통해 A사의 업무 진행 상황과 전자우편 송수신 내용을 실시간으로 들여다보고, 소속 직원들의 신상정보를 가로챈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김수키는 탈취한 자료를 바탕으로 지난 2월 연말정산 시기에 맞춰 원천징수 영수증으로 위장한 전자우편을 프리덤 실드 전투모의실에 파견된 A사 직원들에게 보냈습니다.

이를 받은 A사 직원들은 전자우편에 첨부돼 있던 파일을 실행하려 했으나, 전투모의실이 위치한 주한미군 부대에서는 미 국방 전산망의 통제를 받기 때문에 보안시스템에 의해 해당 파일이 열리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수사 결과 군 관련 정보가 김수키 측에 흘러 들어간 정황은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다만 경찰은 일부 직원이 해당 전자우편을 외부의 개인 전자우편 계정으로 재전송해 열람했고, 이 과정에서 개인용 컴퓨터가 악성코드에 감염된 사례가 있었다고 설명했습니다.

경찰은 지난 3월 미군 수사기관과 정보 공유를 통해 피해를 확인한 후 수사에 착수, 해킹 공격에 사용된 아이피(IP)가 2014년 김수키가 벌인 '한국수력원자력 해킹 사건'에서 사용된 IP 대역과 일치하는 사실을 파악했습니다.

아울러 기존 공격과 유사성, '념두' 등 북한식 어휘 사용, 한미연합연습 시기(3월 13~23일) 등 전반을 고려할 때 이번 사건 역시 김수키의 소행인 것으로 판단했습니다.

경찰은 오는 21일부터 31일까지로 예정된 '을지 프리덤 실드'(을지 자유의 방패·UFS)를 한 달여 앞둔 지난달 미 육군 인사처를 사칭한 전자우편이 주한미군 한국인 근무자들에게 발송된 사실을 추가로 확인하고, 미군 수사기관과 공조 수사를 계속하고 있습니다.

김수키는 2014년 한국수력원자력 해킹 사건을 벌였던 북한 해킹조직입니다.

우리 정부는 지난 6월 2일 김수키를 독자 대북 제재 명단에 올렸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