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직장 내 괴롭힘 신고하니 "나오지 마"…직장갑질119 '수습 갑질' 사례 공개

직장 내 괴롭힘 신고하니 "나오지 마"…직장갑질119 '수습 갑질' 사례 공개
시민단체 직장갑질119는 수습이라는 이유로 부당해고 등 '갑질'을 겪는 경우가 많다며 제보 사례를 공개했습니다.

수습은 정식 근로계약을 맺은 뒤 업무능력 향상을 위해 부여하는 근로기간으로 정규직 노동자와 같은 법적 보호를 받습니다.

정식채용 전 업무능력 평가를 거쳐 채용 여부를 판단하는 '시용'과도 구분됩니다.

그러나 일부 회사가 사회초년생의 불안정한 지위와 부족한 법 지식을 악용해 수습사원에게 불리한 계약을 강요한다고 단체는 설명했습니다.

한 제보자는 "정규직 채용공고를 보고 입사했는데 근로계약서는 3개월 단기계약서였다"며 "회사에 문의하자 수습기간이 지나고 다시 계약서를 쓴다고 한다"고 말했습니다.

또 다른 제보자는 "근무 시작 두 달 뒤 직장 내 괴롭힘을 당해 신고했는데 피해를 인정받지 못했다"며 "회사에서는 3개월까지 수습 기간이었으니 정식 계약을 하지 않겠다며 내일부터 나오지 말라고 한다"고 전했습니다.

또 수습기간에 근무 장소와 시간, 보수, 업무 내용 등 근로조건을 일방적으로 변경하거나 갑자기 수습기간 연장을 통보하는 경우도 있었다고 단체는 설명했습니다.

직장갑질119가 올해 1∼7월 받은 전체 이메일 제보 1천114건 중 근로계약과 관련한 제보는 154건(13.8%)이었습니다.

또 지난 6월 전국 만 19세 이상 직장인 1천 명에게 설문한 결과 응답자의 17.1%가 "입사 제안 조건과 실제 근로 조건이 같지 않았다"고 답했습니다.

직장갑질119는 "채용 갑질, 수습 갑질을 채용 사기로 규정하고 위반 시 과태료가 아닌 벌금을 부과하는 등 보다 강력한 사용자 처벌이 필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