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112만 년 전 갑자기 유럽 인류 사라진 까닭은?

112만 년 전 갑자기 유럽 인류 사라진 까닭은?
▲ (왼쪽부터) 악셀 팀머만 IBS 단장과 윤경숙 연구위원, 김현아 학생연구원

112만 년 전 유럽에 살던 초기 인류가 갑자기 사라진 이유가 북대서양이 급격히 차가워지며 유럽이 초기 인류에게 살아남기 어려운 환경으로 변했기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기후물리 연구단 악셀 팀머만 단장(부산대 석학교수) 연구팀이 영국 임페리얼칼리지 런던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이런 연구 결과를 오늘(11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했다고 밝혔습니다.

당시 유럽에는 초기 인류 중 하나인 호모 에렉투스가 살고 있었습니다.

호모 에렉투스는 뇌가 다소 작고 큰 이빨을 가진 인류로 단순한 도구를 사용했고 불을 잘 다루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들은 180만 년 전 아프리카에서 중앙 유라시아로 이주해 150만 년 전에는 남유럽 이베리아반도까지 도달했습니다.

하지만 110만~90만 년 전 이들은 갑자기 사라진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들의 흔적을 나타내는 화석 증거가 갑자기 사라졌기 때문입니다.

이후 90만 년 전쯤 유럽에는 호모 에렉투스 대신 호모 안테세소르가 나타나 거주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그 이유는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연구팀은 200만 년에 걸친 고기후-인간 서식지 모델 시뮬레이션과 포르투갈 해안 해저 지역에서 얻은 심해 퇴적물 코어 자료를 결합해 유럽에서 인류가 사라졌을 것으로 추정되는 기간의 기후와 식생을 재구성했습니다.

해양퇴적물 코어에는 인접한 땅에서 날아온 작은 식물의 꽃가루가 들어 있어 지역적 식생과 기후를 유추할 수 있게 해줍니다.

연구팀은 여기에 더해 작은 해조류에 남겨진 유기 화합물을 분석해 해수의 온도 변화도 유추했습니다.

유럽에서의 수온 변화와 호모 에렉투스가 사라지는 시기

그 결과 연구팀은 112만 7천여 년 전 동부 북대서양 지역 수온이 20도 정도에서 7도까지 낮아진 것을 발견했습니다.

이는 빙하기가 끝나는 시점에 나타나는 한냉기(terminal site) 현상의 증거라고 연구팀은 설명했습니다.

이처럼 북대서양이 급격히 냉각하면서 남유럽과 서유럽 식생을 초기 인류가 살기엔 힘든 반사막(강수량이 많은 사막)으로 바꿔 놓은 것으로 연구팀은 분석했습니다.

이 한냉기 현상은 약 4천 년 간 지속됐습니다.

연구팀은 한냉기 기간에 초기 인류가 어떻게 반응했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추가적 기후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결과, 유럽 빙상이 갑작스럽게 붕괴하며 담수가 북대서양에 늘어났다고 봤습니다.

이를 통해 인류가 살기 적합한 정도가 기존의 절반 아래로 떨어졌을 것으로 연구팀은 분석했습니다.

이번 연구는 호모 에렉투스의 화석 등 고고학적 증거와 기후 데이터를 연결한 첫 연구로, 이 시기 호모 에렉투스가 남유럽 대부분 지역에서 살 수 없었을 것으로 연구팀은 결론 내렸습니다.

불을 못 쓰며 적응력이 약한 호모 에렉투스 대신 훨씬 기후변화에 잘 견디는 호모 안테세소르가 이 지역에 살게 됐다는 것입니다.

팀머만 단장은 "북대서양 온도 변화는 남유럽의 식생과 인간의 식량 자원에 밀접한 영향을 미친다"며 "이번 연구는 인류 역사가 과거 기후 변화에 의해 형성되었다는 증거에 한 줄을 덧붙일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사진=IBS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