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스프] 6년여 만에 재개되는 중국인 단체관광…하반기 '유커' 2백만 명 기대된다

스프 뉴스스프링 중국단체
중국이 그동안 꽁꽁 막았던 자국민의 한국 단체 관광을 허용했습니다. 지난 2017년 초 사드 사태 이후 6년 반 만입니다. 중국 문화관광부는 8월 10일 중국 국민의 단체 관광 허용 국가 명단을 발표했습니다. 올 들어 3번째로 발표하는 이번 명단에는 한국을 비롯해, 미국과 일본 등 78개 나라가 포함됐습니다.

무슨 일인데?

중국은 올초 '제로 코로나' 정책을 폐기하고 '위드 코로나'로 전환한 이후 단계적으로 해외여행 문을 열기 시작했습니다. 코로나로부터 '연착륙'을 하겠다는 이유였습니다. 이에 따라 올 2월 1차로 태국, 인도네시아 등 20개국을, 이어 3월에는 2차로 프랑스, 이탈리아, 베트남 등 40개국에 대해 자국민의 단체관광을 허용했습니다.

1차 때는 우크라이나와 전쟁 중인 러시아도 들어갔고, 2차 때는 탄자니아, 우간다, 세네갈 등 거리가 멀고 비교적 여행 수요가 적은 아프리카 국가들도 포함됐습니다. 하지만 한국을 비롯한 미국과 일본은 제외됐습니다. 1차 명단 발표 때만 해도 서로 단기 비자 발급을 중단하면서 한중이 갈등을 빚고 있었지만, 2차 때는 비자 문제도 해결된 이후였던 터라 실망감도 컸습니다.

이번 3차 명단에는 한미일 등을 포함해 독일, 폴란드, 인도, 튀르키예, 알제리 등 78개국이 포함됐습니다. 3차에 걸쳐 사실상 전 세계 국가로의 빗장을 모두 연 셈입니다. 외교관 추방 등 외교 갈등이 심각한 캐나다, 전쟁 중인 우크라이나 정도만 제외됐을 뿐입니다.

좀 더 설명하면

사실 1~2차 명단 발표 이후 올해 내 중국인 단체 관광 재개는 힘든 게 아닌가 하는 우려가 나왔습니다. 특히 코로나 이후 내수 침체 등 경제 상황이 좋지 않은 중국에서 소비 증가, 내수 진작을 위해 국내 관광을 독려하는 모습을 보이며 기대감은 더 떨어졌습니다.

3차를 사실상 마지막으로 중국이 해외여행의 문을 활짝 열게 된 것도 경제 활성화를 위한 것이라는 분석입니다. 코로나 이후 여행 수요는 증가하는데, 자국 내로만 제한하는 것보다 해외로도 열어놓으면 '파이' 자체가 커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현재 중국 내 항공편 국제노선은 코로나 이전보다 절반이 줄어든 상태로, 그 이전 수준을 회복하면 관련 업계로의 파급 효과도 무시할 수 없을 겁니다. 또, 다음 달 중국 내 가장 큰 명절인 중추절(9월 29일~10월 6일), 항저우 아시안게임 등 큰 이벤트들을 앞두고 '출구 전략'도 필요했을 것으로도 보입니다.

한 걸음 더

이번 조치를 가장 반기는 곳은 당연히 여행 업계입니다. 중국 여행 업계에서는 이미 몇 주 전부터 중국 정부가 단체 관광 허용 국가를 확대할 것이라는 소문이 돌면서 들썩이기 시작했습니다. 중국판 카카오톡인 웨이신(微信)에 있는 여행사 단체 메시지방에는 이미 "8월 중 모든 국가로의 단체 관광이 허용될 것이니 관광 상품을 준비하라"는 공지가 떴습니다. 중국 항공사들도 앞다퉈 한국, 일본 운항 재개를 암시하는 게시물을 올리기 시작했습니다.

스프 뉴스스프링 중국단체
(남은 이야기는 스프에서)

스프 배너
이 콘텐츠의 남은 이야기가 궁금하다면 하단 버튼 클릭! | 스브스프리미엄 바로가기 버튼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