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태풍 '카눈'] 태풍 카눈 '한반도 남북 종단' 전망 유지…북진하며 세력 키워

[태풍 '카눈'] 태풍 카눈 '한반도 남북 종단' 전망 유지…북진하며 세력 키워
▲ 태풍에 북적이는 제주공항

기상청이 최신 예보에서 제6호 태풍 카눈이 한반도를 동서로 양분하면서 남에서 북으로 종단한다는 전망을 유지했습니다.

기상청이 오늘(9일) 오전 10시 발표한 태풍 정보에 따르면 카눈은 1시간 전 일본 규슈 남서쪽, 제주 서귀포에서는 남동쪽으로 360㎞ 떨어진 해상을 지났습니다.

현재 중심기압은 970hPa(헥토파스칼), 최대풍속은 35㎧(시속 126㎞)로 강도 등급은 '강'입니다.

카눈은 내일 오전 3시 경남 통영 남쪽 120㎞ 해상을 지나 계속 북진하며 이후 국내에 상륙해 같은 날 오전 9시 통영 북서쪽 40㎞ 지점에 이르겠습니다.

즉 내일 아침에 경남 남해안으로 상륙할 가능성이 높은 것입니다.

기상청이 9일 오전 10시 발표한 제6호 태풍 카눈 예상 경로 (사진=기상청 제공, 연합뉴스)

현 위치에서 국내에 상륙할 때까지 카눈 중심기압은 현재보다 낮고 최대풍속은 더 빠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중심기압은 낮을수록, 최대풍속은 빠를수록 위력이 강한 태풍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내일 오전 3시 통영 남쪽 120㎞ 해상에 이르렀을 때 카눈 중심기압과 최대풍속은 각각 965hPa와 37㎧(시속 133㎞)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즉 카눈이 북상하면서 세력을 키운다는 것인데 이는 남해를 비롯한 경로상 해수면 온도가 27~29도로 평년보다 높고 해양 열용량이 충분하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미국 해양대기청(NOAA) 위성으로 파악한 한반도 주변 해수면 온도 (사진=국립수산과학원 제공, 연합뉴스)

상륙 후 카눈은 내일 오후 3시 청주 남동쪽 20㎞ 지점, 같은 날 오후 9시 서울 동쪽 30㎞ 지점을 지나겠습니다.

이후 휴전선을 넘어 11일 오전 3시 북한 평양 남동쪽 120㎞ 지점에 이르겠습니다.

주변국 기상 당국 예상 경로와 비교했을 때 한국 기상청 예상 경로가 상륙 후 가장 동쪽입니다.

한반도를 세로로 반 갈랐을 때 그 중앙선을 따라 북진한다는 것이 한국 기상청 전망이라면 다른 국가 기상 당국은 중앙선 서편에서 북상할 것으로 봅니다.

이런 차이는 상륙 지점과 상륙 후 지형이 경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판단이 미세하게 달라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기상청 예상대로 카눈이 움직인다면 기상청이 자료를 가지고 있는 1951년 이후 처음 한반도를 내륙에서 남북으로 종단하는 태풍으로 기록될 전망입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