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사상 최대 동물 바뀌나…"최대 340t 고대 고래 화석 발견"

사상 최대 동물 바뀌나…"최대 340t 고대 고래 화석 발견"
페루에서 발견된 3천900만 년 전 화석을 토대로 복원한 고대 고래의 체중이 최대 340t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돼 역사상 가장 무거운 동물로 꼽히는 대왕고래를 능가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독일 슈투트가르트 국립 자연사박물관 엘리 암슨 박사팀은 3일 '네이처'(Nature)에서 페루 남부에서 발견된 척추 13개, 갈비뼈 4개, 엉덩이뼈 1개 등을 분석한 결과 신종 고래 '페루세투스 콜로서스'(Perucetus colossus)로 분류됐으며, 몸무게가 대왕고래의 2~3배에 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습니다.

발견된 뼈 화석을 토대로 전체 몸을 복원한 결과 이 동물은 에오세 중기인 3천900만 년 전에 살던 바실로사우루스과에 속하는 신종 고래로 밝혀졌으며, 몸길이가 최대 20m, 몸무게는 85~340t에 달할 것으로 추정됐습니다.

고대 신종 고래 '페루세투스 콜로서스' 뼈 화석

연구팀은 이는 몸길이 25m, 몸무게 130~150t으로 역사상 가장 무거운 동물인 대왕고래와 최소한 비슷하거나 2~3배 더 무거운 것으로 해양 포유류의 거대화 추세가 지금까지 생각했던 것보다 일찍 시작됐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연구팀은 고래와 돌고래 등 포유류가 속한 고래목 동물의 화석은 일부 육상 동물이 바다로 돌아갔을 때 포유류의 진화 역사 기록에 매우 중요하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이전 기록에 따르면 이들이 바다로 돌아간 뒤 수중 생활에 적응해 몸이 커지면서 체중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고래의 체중이 최대치에 도달한 것은 상대적으로 최근의 일로 추정돼 왔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페루세투스 콜로서스의 발견은 고래류가 이전까지 추정해온 것보다 3천만 년가량 더 이른 시기에 이미 수중 환경에 완전히 적응하는 신체 특성을 갖췄고 체중 역시 최대치에 도달했음을 시사한다고 연구팀을 설명했습니다.

특히 페루세투스 콜로서스의 골 질량은 알려진 포유류나 수생 척추동물들의 골 질량을 능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바실로사우루스과 고래가 해안같이 얕은 물 속 환경에 맞게 특화돼 진화했다는 기존 이론을 뒷받침하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미국 노스이스트 오하이오 의대 J.G.M.테위센 교수는 논문과 함께 게재된 논평에서 "고대 고래의 골격과 체중이 예상외로 거대했음을 보여주는 이 화석은 동물 몸 크기의 진화에 대한 우리 이해에 이의를 제기하는 것"이라며 "이 화석의 중요성은 이전에 알려지지 않은 생명체 하나가 발견됐다는 것 그 이상"이라고 말했습니다.

(사진=Alberto Gennari 제공, Giovanni Bianucci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