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단독] "선수생활 끝…교수 말은 법"…체육계 병폐 (D리포트)

지난 2019년 SBS가 최초로 보도하면서 세상에 알려진 쇼트트랙 조재범 코치의 성폭행 사건, 이 사건을 계기로 국가인권위원회가 체육계 인권 침해에 대한 직권조사를 벌였습니다.

이 조사에서 체육계의 1) 폐쇄성과 2) 2차 피해 우려, 그리고 3) 절대적인 지도자의 영향력 같은 구조적 원인들이 지적됐습니다. 

이런 문제들은 끝까지판다팀이 만난 체조선수들의 입에서도 판박이처럼 드러났습니다.
 
선수들이 합숙 생활 같은 외부와 차단된 환경에서 공동체 생활을 하다 보니 문제 인식도, 문제 제기도 어려웠습니다. 

[A 씨/한체대 출신 선수 : 이미 위에 선배들부터 쭉 그래 와서 알고 있어서….]

[B 씨/한체대 출신 선수 : 전에 있던 사람들이 (계약금 10%를) 다 내서 저희도 꼭 내야 된다는 생각만 가지고 있어서요. 그때 당시에는 저희도 좀 어렸던 것 같아요.]

문제를 제기해도 좁은 체육계에서 해결은커녕 되레 2차 피해를 입을까 두렵기만 합니다. 

[C 씨/한체대 출신 선수 : 잘못된 걸 알고는 있는데 섣불리 누가 말을 할 수 없는 그런 상황이죠. 계속 운동을 앞으로 해야 되니까.]
 
[D 씨/한체대 출신 선수: 이게 바뀐다면은 할 말들도 조금 많이 있을 거 같은데, 항상 바뀌지 않아서 굳이 말을 안 했던 거 같아요. 내부 고발자 이런 식으로, 안 좋은 시선만 있을 텐데.]

무엇보다 대회 출전부터 앞으로 인생 진로까지, 지도자 영향력이 절대적이기에 어떤 요구라도 거부하기 어렵습니다.

[E 씨/한체대 출신 선수: 그냥 교수 말은 법이었어요. 법이죠. 아무도 달려들 수 있는 사람이 없었어요. 안 낸다? 얘는 그러면 아무리 운동 잘해도 그냥 팽 당하는 거죠. 그걸 안 내는 순간 자기 목숨은 끝인데.]

폐쇄적, 수직적인 환경이 대물림되면서 '싫어도 싫은 티'를 내지 못한 채 '자발적 기부'를 강요받아왔던 겁니다. 

[김현수/전 인권위 스포츠인권특별조사단장: (스포츠계에서는) 피해자가 그 사실을 밖으로 드러내기 어려운 부분들이 분명히 있었거든요. 그러니까 이것을 드러냈을 때 본인이 오히려 집단에서 배제당하는 그런 결과로 대부분 이어지고 있기 때문에…]
 
이런 구조적 병폐는 '메달'과 '국위선양'을 최우선 가치로 여기는 문화에 있다며, 체육계의 인식 대전환이 필요하다는 진단은 계속 나왔지만, 변화는 더디기만 했습니다. 

(취재 : 화강윤 / 영상취재 : 하륭 / 영상편집 : 이승진 / CG : 조수인, 임찬혁 / VJ : 김준호 / 제작 : 디지털뉴스편집부)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