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주거동에도 무량판 구조"…민간 아파트도 전수조사

<앵커>

최근 문제가 된 철근 누락 사태의 후폭풍은 LH 아파트를 넘어 민간아파트까지 번지고 있습니다. 무량판 구조를 사용한 민간아파트 293개 단지에 대해서도 정부가 전수조사에 들어갔습니다. 그런데 이미 절반 이상이 입주를 마쳤고 지하주차장뿐 아니라 사람들이 사는 주거동에도 무량판 구조가 사용됐습니다.

조윤하 기자입니다.

<기자>

건물 외벽이 무너져 내리면서 노동자 6명이 숨지고 1명이 다친 광주 화정아이파크 붕괴사고.

붕괴된 아파트 주거동에는 무량판 구조가 적용됐습니다.

이 구조가 붕괴의 직접적인 원인은 아니었지만, 무단 설계 변경과 부실한 시공, 감리 등이 겹치면서 큰 사고로 이어졌습니다.

무량판 구조에 대한 커지는 불안감에 정부는 LH에 이어 지하주차장에 무량판 구조가 적용된 293개 민간 아파트 단지도 전수 조사합니다.

2017년 이후 준공된 단지들인데, 188곳은 입주를 마쳤고 나머지는 공사가 진행 중입니다.

[국토교통부 관계자 : 무량판이 전국에 얼마나 있는지를 확인한 건데. 구조나 이런 거에 더 특화해서 보긴 봐야죠.]

특히 일부 단지는 주차장뿐 아니라 주거동에 무량판 구조가 채택되어 만약 문제가 발견되면 파장이 클 것으로 예상됩니다.

국토교통부는 이달 중 점검 일정과 방법을 발표할 계획입니다.

조사는 설계도면과 구조계산서를 분석한 뒤, 초음파 등으로 철근이 있는지를 확인하고, 콘크리트 강도 검사 순서로 이뤄지는데, LH 아파트 조사에만 석 달이 걸린 만큼 민간 아파트 전수 조사는 더 오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입니다.

[이은형/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 : 민간 아파트와 공공아파트라는 대상에 큰 차이가 없기 때문에 아마도 기존과 동일하게 비파괴 조사를 먼저 시행할 것으로 보입니다.]

철근 누락이 확인된 단지가 준공 전이라면 건설사와 논의해서 보수 공사를 하면 되지만, 입주가 완료된 경우는 하자 보수 예치금을 써야 해 주민들의 동의가 필요합니다.

철근 누락 사실이 공개되면 집값이 내려갈 것을 우려하는 주민들의 반발도 예상됩니다.

(영상편집 : 이상민)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