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계약금 10% 내라" …금메달리스트도 '피해자'

<앵커>

한국체육대학교 체조부가 졸업생이 실업팀에 들어가서 받는 계약금의 10%를 사실상 강제로 가져간 사실이 저희 끝까지판다팀 취재로 확인됐습니다. 체조부 측은 오래된 기부 관행이라고 해명했지만 석연치 않은 점이 한두 가지가 아닙니다.

유수환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한국체육대 체조 전공 학생 중에 학교를 졸업하고 실업팀에 입단하는 선수들 대부분은 계약금이라는 것을 받습니다.

각자의 능력, 또 입단하는 팀의 사정에 따라 액수에는 차이가 있지만, 모두 어린 선수들이 눈물과 땀을 쏟으며 노력한 걸 처음으로 인정받는 상징적인 돈입니다.

저희 끝까지판다팀에 들어온 제보는 이 소중한 계약금과 관련된 내용이었습니다.

[A 씨/한체대 출신 선수 : 받은 계약금의 10%를 이제 학교에 내야 한다고 연락이 와서 이제 냈죠. 계좌 이체로.]

[B 씨/한체대 출신 선수 : 계약금 10%는 대학교에다가 내야 된다고. '내기 싫으면 내지 말라'고 했으면 안 냈을 것 같은데….]

실업팀 입단 계약금 가운데 10%가량을 학교 측이 반강제로 가져갔다는 건데, 피해자는 한둘이 아니었습니다.

국가대표는 물론이고, 국제대회 금메달리스트들도 포함됐고, 수수 기간은 확인된 것만 최근까지 최소 10년에 달합니다.

[D 씨/한체대 출신 선수 : '우리가 이걸 왜 내야 되지?'라는 게 많았었죠. 우리가 고생해서 받은 돈인데…. (그 당시) 친구 한 명이 이걸 안 내면 네 인생이 고꾸라질 수도 있는데 (안 내는 게) 가능하겠냐. 저희들도 '어쩔 수 없이'…. 그냥 그게 관례였던 거죠.]

한체대 체조부 입학생은 매해 7명 정도, 많게는 한 해 3천만 원 이상 걷기도 해 총액은 최소 억대 이상으로 추정됩니다.

이에 대해 체조부 측은 "학생들의 자발적인 기금문화"라며 "비인기 종목의 취약한 재정 지원 탓에 오랜 기부 관행"이라는 공식 입장을 내놨습니다.

하지만, 입금 과정에서 독촉전화까지 있었고,

[D 씨/한체대 출신 선수 : 전화로 계속 아직 입금 안 됐냐, 어떻게 됐냐 왜 너만 아직 안 됐냐, 이런 식으로….]

'학교발전기금 공식 계좌'가 있는데도, 조교 명의 또는 재학생 명의 계좌를 통해 돈을 받은 사실도 확인됐습니다.

[F 씨/한체대 출신 선수 : (학교 계좌로 입금하셨나요?) 아니요. 그 당시에 선수, (재)학생, 그 친구 계좌로 (보내줬어요).]

자발적인 납부다, 오랜 전통이라는 말은 무색해졌고, 개인 계좌로 받았다는 점에서 사용처에 대한 의혹만 커졌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