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스프] 조류 인플루엔자 걸린 고양이들…또 다른 '미지의 질병' 예고편일까

고양이
먼저 고양이를 없애는 게 대책이라는 주장에 정면으로 반대한다. 이번 조류 인플루엔자에 대해 고양이는 사람의 보초병 역할을 해주고 있기 때문이다. 고양이의 집단 폐사 사건을 통해 사람에게 아직 침범하지 않은 상태에서 인류는 바이러스를 대비할 수 있게 됐고, 이것은 메르스, 코로나 19 때와 분명히 다른 점이다.
 

조류 인플루엔자에 걸린 고양이들

지난 화요일 점심 직후, 한 정부 관계자로부터 문자가 날아왔다.

"우려했던 일이 우리나라에도 벌어졌습니다. 우리나라 고양이들이 집단 폐사했는데,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가 나왔어요."

고양이 집단 폐사에 대한 방역 당국 보고서에는 관련 내용이 자세히 적혀 있었다. 6월 24일 서울 용산의 한 보호시설에 있던 고양이 40마리 가운데 고열과 식욕 부진으로 3마리가 죽었고 이후 하루 이틀 간격으로 같은 증세를 보이던 고양이들도 목숨을 잃었다.

7월 4일 호흡기 증세를 보이는 고양이 2마리를 전문 기관에 의뢰했더니 A형 인플루엔자가 검출됐다. 흔한 일은 아니지만 고양이도 독감에 걸려왔다. 2021년 독일, 이탈리아, 프랑스 등 유럽 공동연구팀이 발표한 논문(Influenza Virus Infections in Cats, 고양이 독감 바이러스)에 따르면 개 독감(canine H3N2 IAV), 조류 독감(H7N2 IAV), 사람 독감(H3N2 IAV)에 고양이가 감염된 적이 있었다. 하지만 논문으로 채택될 만큼 드물었고, 대부분 한 마리 감염에 그쳤다.

그런데 이번엔 모두 38마리가 폐사했다. 2마리에서만 바이러스가 확인됐지만 38마리 모두 증세가 비슷해 공통적인 사인을 조류 인플루엔자로 잠정 결론내렸다. 35마리는 소각됐고, 3마리는 냉동 보관 중인데, 이는 기존 고양이 독감 바이러스로는 설명이 불가능하다.

이런 이유로 서울대 수의과대 송대섭 교수에게 유전자 분석이 의뢰된 것이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세계적 권위자인 송대섭 교수는 분석 초기 단계부터 기존 바이러스가 아님을 직감했고, 유전자 분석결과 고병원성 H5N1 조류 인플루엔자로 나타났다.
 

이전 독감 감염과 무엇이 다른가?

고양이 조류독감 바이러스
조류 독감, 고양이 독감, 사람 독감 등 이름이 따로 붙여진 것은 새를 감염시키는 바이러스는 고양이나 사람에게 잘 달라붙지 않아 왔기 때문이다. 그래서 고양이가 조류 독감에 걸리는 일은 매우 드물었고, 특히 집단으로 감염되는 일은 없었다.

그런데 올해 처음으로 고양이가 집단으로 조류 독감에 걸려 집단 폐사하는 일이 폴란드에서 발생했다. 6월 말 지리적으로 서로 떨어진 13개 지역에서 45마리 이상의 고양이가 비정상적으로 폐사했는데, 중간 검사 결과 29마리에서 고병원성 H5N1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확인됐다.

세계보건기구는 지난 7월 17일 이를 공식 발표하며 주의할 것을 당부했다. 고양이들이 조류 인플루엔자에 감염된 새 등의 야생 동물과 접촉한 것으로 추정되지만 어떻게 감염됐는지는 면밀하게 조사 중이라고 밝혔다. 감염 경로를 조사한다는 건 어떤 의미일까? 지금껏 고양이에서 고양이로 독감이 전파되는 일은 없어서 감염 경로에 포함시키지 않았다.

그런데 이번엔 고양이 사이에서의 전파를 완전히 배제할 수 없었고 이는 우리나라도 마찬가지다. 한 곳에 모여 있는 40마리의 고양이 중 38마리가 폐사했는데 고양이 사이의 전파가 없다고 섣불리 결론내리는 데 선뜻 고개가 끄덕여지지 않기 때문이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사안이 있다.

올해 초 중국 연구팀은 조류 인플루엔자 중 특정 변이(PB2 627K)가 있으면 포유류 동물에게 잘 전파되고 치명률도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는데, 이 변이가 이번 고양이 집단 폐사 원인 바이러스에도 있는지 여부다. 슬픈 예감은 틀린 적이 없다고 했던가? 폴란드 바이러스에서는 이 변이가 확인됐고 우리나라 바이러스는 현재 분석 중인데 전문가들은 가능성을 크게 보고 있다.
 

사람은 과연 괜찮을까?

올해 2월 캄보디아 11세 소녀가 조류 인플루엔자에 감염돼 사망했고, 소녀의 아버지도 조류 독감 양성 반응이 나타났다.

(남은 이야기는 스프에서)

스프 배너
이 콘텐츠의 남은 이야기가 궁금하다면 하단 버튼 클릭! | 스브스프리미엄 바로가기 버튼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