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넷플릭스 '연봉 12억' AI 관리자 채용…배우·작가 "속 뒤집혀"

넷플릭스 '연봉 12억' AI 관리자 채용…배우·작가 "속 뒤집혀"
세계 최대 동영상 스트리밍 업체 넷플릭스가 인공지능(AI) 관련 제품 관리자를 고액 연봉에 공개 채용해 할리우드 배우·작가들이 반발하고 있습니다.

27일(현지시간) 넷플릭스에 따르면 이 회사는 최근 '머신 러닝 부문 제품 관리자' 구인 공고를 자사의 채용 사이트에 게시했습니다.

넷플릭스는 "머신 러닝 플랫폼(MLP)은 AI 실무자들이 관련 모델을 쉽게 개발, 배포하고 개선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며 "넷플릭스는 MLP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제품 관리 역할을 신설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자격 요건으로 "엔지니어 및 머신 러닝 실무자와 긴밀하게 협업할 수 있는 높은 수준의 기술 이해도와 알고리즘 및 제품 개발에 더 큰 비즈니스 맥락을 통합할 수 있는 전략적 사고 능력을 갖춰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넷플릭스는 이 분야 직책의 연봉 범위가 30만∼90만 달러(3억8천만∼11억6천만 원)라면서 "이런 범위는 총보수를 기준으로 하며, 이는 넷플릭스의 보상 철학과 일치한다"고 제시했습니다.

이런 공고 내용은 넷플릭스가 향후 AI 관련 콘텐츠 제작을 늘리겠다는 방침을 시사하는 데다 최대 90만 달러에 달하는 고액 연봉이 제시돼 현재 파업 중인 할리우드 배우·작가들의 원성을 샀습니다.

넷플릭스 시리즈 '블랙 미러'에 출연했던 배우 롭 델라니는 "1년에 90만 달러 수입이면 35명의 배우와 그 가족이 배우·방송인노동조합(SAG-AFTRA)의 의료보험에 가입할 수 있다"며 "AI 부서의 1명에게 그 정도 금액을 준다는 게 끔찍하다"고 온라인매체 인터셉트에 말했습니다.

드라마 작가인 엘리자베스 벤저민도 소셜미디어에 "배우들의 AI 우려에 맞서 넷플릭스는 고액 연봉의 AI 채용을 올렸다"며 "이걸 보니 속이 뒤집어진다"고 썼습니다.

그러면서 "인류의 미래는 인간성을 보존하는 우리의 능력에 달려 있다. 동지 여러분, 힘내자"고 덧붙였습니다.

할리우드 양대 노조인 미 작가조합(WGA)과 배우·방송인노동조합(SAG-AFTRA)은 대기업 스튜디오를 대표하는 영화·TV제작자연맹(AMPTP)에 맞서 동반 파업을 벌이고 있습니다.

노사 간의 주요 쟁점 중 하나는 업계의 AI 활용에 따른 배우·작가들의 권리 침해 문제입니다.

배우들은 스튜디오가 자기 얼굴 이미지나 목소리를 가져다가 AI에 학습시킨 뒤 배우에게 보상하지 않고 반복해서 사용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습니다.

작가들은 스튜디오가 챗GPT 같은 대형 언어 모델(LLM)을 이용해 대본을 써내면서 배우들의 일자리가 사라질 것이라고 걱정합니다.

연예매체 할리우드리포터는 "할리우드에서 AI의 미래가 아직 불투명하지만, 주요 스튜디오와 스트리밍 업체들이 이 기술에 흥미를 느끼고 있다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고 짚었습니다.

이 매체는 디즈니에서도 AI 관련 직책 6개를 신설해 채용 중이며, 워너브러더스 디스커버리와 파라마운트, NBC유니버설 등 대부분의 미디어 대기업이 AI 전문가를 경쟁적으로 채용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