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스프] 이제는 '극한호우'…기후위기가 '뉴노멀'되다

[뉴스스프링] 2022년 '극한호우' 충족한 강우 104회

극한 호우 첫 발령
'극한 호우'라는 말 들어보셨나요? 조금 생소하실 겁니다. 올여름부터 기상청이 기존에 있던 호우주의보와 호우경보를 넘는 극단의 강우 상황 발생 시 경보 알림 서비스를 도입하면서 만든 새 기준입니다.

기존 '호우' 경보 기준은 3시간 동안 90mm의 강수량을 초과할 때 발령하는데요. 이에 비해 '극한 호우'의 경우 좀 더 다양한 발령 기준을 갖고 있습니다. 먼저 1시간 동안 50mm를 넘는 동시에 3시간 동안 90mm에 도달할 경우입니다. 혹은 1시간 만에 72mm를 기록할 경우엔 3시간치에 상관없이 '극한호우'가 발령됩니다.
 

왜 중요한데?

기상청이 새로운 기준을 만든 건 작년 8월 서울 동작구와 구로구 등에 내린 시간당 141mm의 역대 최고 강도 폭우 탓이었습니다. 기존 특보로는 감당할 수 없을 만큼 엄청난 비가 쏟아지자 즉각적인 대피 및 대응 조치를 위해 새로 기준이 필요했던 겁니다.

이 기준에 따라 올여름 새 경보 시스템이 도입된 뒤 지난주 화요일(7월 11일) 서울에서 첫 극한호우 발령 사례가 나왔습니다. 그런데 이뿐만이 아닙니다. 지난해 강우량을 기준으로 집계해 봤더니 작년 한 해 동안 극한호우 발령 기준을 충족한 강우 횟수가 모두 104회에 달했습니다. 지난 2013년엔 48회로 계산됐으니 9년 만에 2배를 훌쩍 넘게 극한호우 발생 건수가 늘어난 겁니다. 

참고로 지난해 기존 '호우' 경보 발령건수는 126회로 나타났습니다. 호우 경보 집계와 극한 호우 집계 방식이 상당히 다르기 때문에 일대일로 비교할 수는 없지만, 극단적인 기상 이변이 우리 일상에 훨씬 더 가까워졌다는 점만은 부인하기 어려워진 겁니다.
 

좀 더 설명하면

기존 장마와 달리 왜 이렇게 극단적인 강우 패턴으로 바뀌는 걸까요? 그 배경엔 가속화하는 기후 변화가 자리 잡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 지적입니다.

온실가스 배출 증가로 기온이 상승하면 대기 중 수증기와 구름의 양이 늘면서 강수량의 증가가 동반됩니다. 중요한 건 이와 함께 대기의 변동성 혹은 불규칙성도 강도가 높아진다는 겁니다.

이렇게 되면 강우의 시간적 공간적 편중성이 악화하게 되고요. 여름철 좁은 지역에서 맹렬하게 비를 뿌리는 국지적 집중호우 양상이 심화된다는 겁니다. 


(남은 이야기는 스프에서)

스프 배너
이 콘텐츠의 남은 이야기가 궁금하다면 하단 버튼 클릭! | 스브스프리미엄 바로가기 버튼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