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설계 용역업체 "원안 부적절…국토부 · 정치권 외압 없어"

<앵커>

서울-양평고속도로를 둘러싼 논란이 계속되자, 국토부가 변경 노선을 처음 제안했다는 설계 용역회사 직원과 함께, 양평군에서 설명회를 열었습니다. 원안이 부적절했고, 외압은 없었다는 주장인데, 민주당은 공세 수위를 더 올렸습니다.

노동규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쏟아지는 빗속에서 열린 국토부의 현장 설명회.

서울-양평고속도로 타당성 조사 용역을 맡은 동해종합기술공사 기술사가 마이크를 잡았습니다.

용역 두 달 만에 강상면으로 종점을 바꾼 건 원안인 양서면 종점 위치가 부적절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상화 기술사/동해종합기술공사 부사장 : (원안 종점은) 대부분의 교량이 위치하다 보니까 주변 경관들을 많이 훼손하게 되고, 이 터널 간 간격이 약 1.2km밖에 안 됩니다. 터널들을 다 확장해야 하는 상황이었습니다.]

또 타당성 조사 때 대안 검토는 일반적이며, 국토부나 정치권과의 교감이나 외압은 없었다고 말했습니다.

[이상화 기술사/동해종합기술공사 부사장 : (국토부가 강상면을 원했다든지) 그런 의견은 없었고요. 저희가 그런 의견을 받을 필요도 없고요. 우리는 기술적으로 검토를 한 겁니다.]

기술사는 다만, 남양평 IC 남쪽으로 제시했던 대안이 이후 '병산리 종점'으로 올라온 과정에선 관계기관과 협의가 있었다고 밝혔습니다.

국토부는 여러 변수를 따져 최적안을 도출했을 뿐, 김건희 여사 일가 땅 근처가 된 건 우연이란 입장을 되풀이했습니다.

[이용욱/국토교통부 도로국장 : (실시설계까지 마친) '양평-이천 고속도로' 같은 경우 보면, 노선대도 완전히 바뀌었고 시·종점도 완전히 다릅니다. 서울-양평 고속도로는 거기에 비하면 좀 덜한 사례일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원안에 대한 예타 때 KDI가 종점부를 더 상세히 검토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자 국토부는 기술적으로 가능하다 입장을 밝혔는데, 지금은 설계사 의견을 받아들여 종점 변경 필요하다고 말을 바꾼 부분에 대해선 원론적인 해명만 내놨습니다.

더불어민주당은 공세를 이어갔습니다.

종점 변경안은 교량 17개, 터널 8개가 늘어 정부 추산 170억이 아닌 최소 1700억이 추가로 들어간다는 계산을 내놨습니다.

민주당 경기도당은 원희룡 장관이 대통령 처가 사익을 위해 행정력을 사용했다며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에 고발했습니다.

(영상편집 : 전민규, CG : 이준호·임찬혁)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