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의료노조 총파업 연장할 수도"…"업무 개시 명령 검토"

<앵커>

전국 보건 의료 노조가 의료 인력 확충과 공공병원 지원 확대 등을 요구하며, 어제부터 총파업에 들어갔습니다. 보건 의료 노조는 앞으로 파업 기간을 더 늘릴 수 있다는 입장인데 정부는 파업이 길어질 경우 강제로 업무에 복귀하게 하는 업무 개시 명령도 검토할 수 있다며 강력히 대응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박재현 기자입니다.

<기자>

[규탄한다, 규탄한다.]

쏟아지는 빗속에 모인 보건의료노조 조합원 2만여 명, 의료 현장 인력난을 해소하라는, 자신들의 파업은 정당하다고 주장했습니다.

[나순자/보건의료노조 위원장 : 의료현장은 지금 인력대란입니다. 환자들은 원하는 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가 없습니다.]

간호사, 간호조무사, 의료기사, 약사 등이 가입된 보건의료노조의 파업은, 2004년 민영화 반대 파업 이후 19년 만입니다.

파업은 경희대병원, 고대안암병원 등 20개 상급병원을 포함해 전국 145개 의료기관에서 진행 중입니다.

간호사와 환자 비율 1대 5 등 의료 인력 확충 등이 핵심 요구사항인데, 정부는 시행 시기를 못 박을 수 없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노조는 일단 오늘까지 파업을 이어간 뒤 정부 태도를 보고 연장 여부를 결정하겠다며 압박했습니다.

하지만, 정부는 파업이 장기화하면 '업무개시 명령'을 검토할 수 있다며 강경 대응 방침을 재확인했습니다.

[조규홍/보건복지부 장관 : 보건의료노조가 민주노총의 파업 시기에 맞춰 정부의 정책 수립과 발표를 강요하는 것은 정당하지 않습니다.]

업무개시명령은, 의료인의 집단 파업으로 환자 진료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면, 정부가 강제로 근무를 명령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보건 위기경보 수준도 '관심'에서 '주의'로 상향하는 등, 노정 간 강 대 강 대치는 보건의료 분야에서도 되풀이되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이용한, 영상편집 : 최은진, CG : 박천웅)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