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지난해 물난리 악몽에…모래주머니 쌓고 차수판 세우고

<앵커>

비가 많이 온다는 소식에 지난해 침수 피해를 겪었던 시민들의 불안감은 더욱 커졌습니다. 반지하 주택에 사는 분들과 전통시장 상인들은 차수판을 설치하고 모래주머니를 쌓으며 침수 피해가 나지 않도록 대비했습니다.

보도에 이태권 기자입니다. 

<기자>

서울 관악구의 한 주택가.

장대비가 쏟아지는 가운데 배수로 정비 공사가 진행 중입니다.

지난해 겪었던 침수 피해를 막기 위해 빗물받이 용량을 늘리는 겁니다.

하지만 이 일대에 예정된 공사는 연말쯤에야 모두 마무리됩니다.

오전부터 심상찮게 쏟아지는 빗줄기에 마음이 바빠졌습니다.

빗물이 마당으로 흘러 들어가는 반지하 주택에서는 벌써 양수기 가동이 시작됐습니다.

대문 앞으로 연결된 호스에서는 집안에서 퍼낸 물이 쏟아집니다.

[박선희/서울 관악구 : 밤에 그런 일이 벌어지면 또 잠기지, 작년처럼. (그래서) 올해 미리 이렇게 여기다가 해 놓은 거예요. 미리 좀 뽑아내게끔.]

지난해 침수됐던 한 골목입니다.

반지하 가구의 피해가 컸던 곳인데, 지금은 이렇게 물이 넘치는 걸 막기 위해 양수기와 모래주머니 그리고 차수판까지 설치됐습니다.

지난해 침수 피해로 인명 피해가 났던 반지하 주택 입구에는 빗물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차수판이 설치됐고 역시 지난해 큰 피해를 입었던 아파트 단지도 지하 주차장 입구에 차수판을 세우며 침수에 대비했습니다.

[이양택/관리소장 : 작년에 비 피해가 좀 커가지고 주민분들 피해도 좀 많이 입어가지고, 오늘 비가 많이 온다고 그래서 미리 지금 설치를 하고 있습니다.]

미설치 상가는 임시방편으로 모래주머니로 빗물 유입을 막습니다.

전통시장에서도 곳곳에 빗물받이 통이 놓였고 점포 밑으로는 모래주머니가 깔렸습니다.

[하천 범람의 위험이 있어 출입을 금지합니다.]

최근 경기 여주와 부산 등에서 하천 급류에 휩쓸리는 사고가 잇따르면서, 지자체들은 도심하천에 출입 통제선을 치며 안전사고에 대비했습니다.

(영상편집 : 유미라, VJ : 이준영·노재민)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