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집중 호우 속에 부산에서 실종된 60대 여성에 대한 수색작업이 사흘째 계속되고 있습니다. 당시 하천을 비추는 CCTV와 수위를 측정하는 장비가 있었는데도 사고가 난 걸 놓고 지자체의 대응이 너무 허술했던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
KNN 이민재 기자가 전하겠습니다.
<기자>
실종자 수색 사흘째지만, 지금까지 발견된 건 실종자의 휴대전화가 전부입니다.
하천을 비추는 CCTV가 있었지만 무용지물이었습니다.
CCTV 관제실에서는 하천으로 진입하는 주민이 있는지 확인하지도, 대피방송도 하지 않았습니다.
[김문정/부산 학장동 : 운동하는 사람들이 (통제선) 아래로 들어가는 거예요. (대피 지시) 방송은 들은 적 없어요.]
사상구는 호우 예비 특보가 내려지지 않아 대응이 늦었다는 궁색한 변명뿐입니다.
[강종길/부산 사상구 도시안전국장 : 호우 예비특보가 없는 상황에서 급격하게 (비가) 쏟아지다 보니까, 우리가 대처할 시간적인 여유도 없었고, 너무 급박한 게릴라성 호우라는 거죠.]
이번처럼 급격히 물이 불어났을 때 대피할 진출입로도 부족했습니다.
5km에 달하는 학장천의 진출입로는 모두 16곳입니다.
300m당 1개꼴인데, 갑작스럽게 비가 내릴 경우 대피하기에는 턱없이 먼 거리입니다.
동래구 온천천은 똑같이 5km 구간이지만, 진출입로가 51곳이나 됩니다.
부산시가 하천 수위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자동관측시스템까지 만들어 교육까지 시켰지만, 사상구는 확인조차 하지 않았습니다.
[부산시 관계자 : (시스템 구축 때) 중간보고회를 두 차례 했거든요. 침수상황이 발생하기 전에 CCTV를 활용해서 현장 상황도 확인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3년 전 3명이 숨진 부산 초량 지하차도 참사 이후에도 지자체의 재난 관리는 여전히 허술하기만 합니다.
(영상취재 : 전재현 KNN)
KNN 이민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