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한국 작년 경제 규모 '톱10' 유지 실패…3계단 하락한 13위

한국 작년 경제 규모 '톱10' 유지 실패…3계단 하락한 13위
지난해 우리나라의 명목 국내총생산(GDP) 규모가 세계 13위로 잠정 집계돼 3년 연속 '톱(Top) 10'을 유지하는 데 실패했습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명목 GDP(시장환율 적용)는 1조 6천733억 달러로, 전 세계 13위 수준으로 추정됩니다.

국가별로는 미국이 25조 4천627억 달러로 1위를, 중국이 17조 8천760억 달러로 '빅2'를 형성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그 뒤는 일본 (4조 2천256억 달러), 독일 (4조 752억 달러), 영국 (3조 798억 달러)순으로 '톱 5'에 이름을 올렸습니다.

명목 GDP란 한 나라에서 재화와 서비스가 얼마만큼 생산됐는지를 보여주는 지표로, 한 나라 경제의 크기를 나타냅니다.

명목 GDP는 시장 가격(당해연도 가격)을 기준으로 집계합니다.

지난해 한국의 경제 규모를 100(한국=100)으로 봤을 때, 전 세계 1위 미국은 15배가 넘는 1천522, 중국은 10배가량인 1천68에 달했습니다.

한국의 경제 규모 순위는 2021년 10위에서 지난해 13위로 3계단 하락했습니다.

유엔(UN) 통계에 따르면 2021년 한국의 명목 GDP는 1조 8천109억 달러로 11위였던 러시아(1조 7천787억 달러)와 12위 호주(1조 7천345억 달러), 13위 브라질(1조 6천89억 달러)을 앞섰지만, 이들 모두 지난해 우리나라를 추월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제 규모가 3계단 하락한 것은 전반적인 성장 활력이 떨어진 데다 지난해 달러 강세로 인해 달러화로 전환한 명목 GDP가 감소했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의 지난해 명목 GDP는 2천161조 8천억 원으로 전년보다 3.9% 증가했습니다.

그러나 미 달러화 기준으로는 환율 상승(연평균 12.9%) 영향으로 전년 대비 7.9% 감소했습니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지난해 달러 강세로 인해 환율 전환 지표들이 대부분 안 좋게 나오고 있다"면서 "(강달러 상황 속에서도) 자원 수출국들의 경우 다른 통화에 비해서 환율이 강세를 보이면서 (상대적으로) 우리나라의 명목 GDP 순위가 하락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습니다.

실제 지난해 우리나라를 제친 러시아와 브라질, 호주 등은 모두 석유나 광물 등 원자재 수출국이라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