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25∼49세 남성 47%·여성 33%는 미혼…혼외자 출생 7천700명

25∼49세 남성 중 절반 정도는 결혼 경험이 없는 독신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여성도 3명 중 1명은 미혼이었습니다.

통계청이 '인구의 날'인 오늘(11일) 기존 통계를 토대로 작성한 '저출산과 우리 사회의 변화'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혼인 건수는 19만 2천 건으로, 1970년(29만 5천 건)보다 10만 3천 건 감소했습니다.

인구 1천 명당 혼인 건수를 나타내는 조혼인율은 1970년 9.2건에서 지난해 3.7건으로 줄었습니다.

평균 초혼 연령은 남자가 33.7세, 여자가 31.3세로 나타났습니다.

남녀 간 평균 초혼 연령 차이는 2.5세로, 2012년(2.7세)보다 소폭 줄었습니다.

독신 남성·여성의 비율도 빠르게 증가했습니다.

25∼49세 남성 중 미혼인 사람의 비율은 2010년 35.3%에서 2015년 40.2%, 2020년 47.1%로 지속해서 증가했습니다.

여성 미혼 비중 역시 2010년 22.6%, 2015년 27.1%, 2020년 32.9%로 계속 늘었습니다.
신생아실

결혼이 줄어들면서 출생아 수도 감소했습니다.

지난해 출생아 수는 24만 9천 명으로, 10년 전인 2012년 48만 5천 명의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습니다.

합계 출산율도 2012년 1.30명에서 지난해 0.78명으로 감소했습니다.

15∼49세 기혼 여성 중 추가 자녀 계획이 있는 여성의 비율은 12.5%로 집계됐습니다.

추가계획 자녀 수까지 합한 기대 자녀 수는 1.68명이었습니다.

법적 혼인 상태가 아닌 혼외자 출생은 2021년 7천700명으로 전체의 2.9%를 차지했습니다.
통계청 '저출산과 우리 사회의 변화' (사진=통계청 제공, 연합뉴스)

일과 가정의 양립 관련 통계에서는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과 고용률의 상승세가 두드러졌습니다.

여성 경제활동 참가율은 2000년 48.8%에서 지속 상승해 지난해 54.6%를 기록했습니다.

고용률도 상승세가 이어져 지난해 60.0%까지 올랐습니다.

경력 단절 여성은 15∼54세 기혼 여성 중 17.2%를 차지했습니다.

경력 단절 사유로는 육아(42.7%)가 가장 많았고 결혼(26.3%), 임신·출산(22.8%)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다만 가사노동에서의 성별 격차는 여전했습니다.

통계청 사회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부부 중 가사를 공평하게 분담하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남편과 아내 모두 20%가량에 그쳤습니다.

성인의 평균 가사노동 시간도 2019년 기준으로 남자가 56분, 여자가 3시간 13분으로 차이가 컸습니다.

맞벌이 부부의 경우에도 남편의 가사노동 시간은 54분, 아내는 3시간 7분으로 나타났습니다.

통계청은 한국 인구가 2020년을 정점으로 감소해 2041년 4천만 명대에 진입할 것으로 관측했습니다.

노인 인구 비중은 현재 18.4%에서 34.4%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이 같은 추세가 이어진다면 2070년 한국 인구는 3천800만 명까지 감소할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노인 비중은 46.4%까지 늘어 전체 인구의 절반가량을 차지할 것으로 봤습니다.

생산가능인구(46.1%)의 비중보다 높은 수준입니다.

외국인과 다문화 가구는 증가세가 이어졌습니다.

지난해 15세 이상 외국인은 130만 2천 명으로 2012년보다 33만 8천 명 늘었습니다.

다문화 가구는 2021년 기준 38만 5천 가구로 전체 가구의 1.7%를 차지했습니다.

외국인을 우리나라 국민으로 수용하는 정도는 10점 만점에 5.3점이었습니다.

(사진=통계청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