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뱅크런' 조짐에 뒷북 진화…"유사시 정부 돈으로"

<앵커>

연체율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면서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 새마을금고에 대해 정부가 범정부 대응단을 꾸렸습니다. 돈을 찾으려는 고객들이 끊이지 않으면서 대규모 예금 인출 우려까지 나오자, 급히 진화에 나선 겁니다. 정부는 필요한 경우 차입을 통한 직접 지원에 나서겠다고 밝혔습니다.

박예린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경기 남양주의 한 새마을금고.

예금을 찾으려는 고객들의 발길이 이어지면서 지점 내부는 북새통입니다.

[A 씨/새마을금고 고객 : 괜히 불안해요. 내 돈이 여기에 있는데, (마음이) 조금 안 좋지.]

행안부 차관은 직접 새마을금고 계좌를 만들며 예금자 달래기에 나섰지만, 아직 불안하다는 고객이 많습니다.

[B 씨/새마을금고 고객 : 너무 불안한 거예요. 그래서 빨리 해약을 하고 다른 데로 그냥 이체를 할까 하고 (왔어요.)]

행정안전부와 금융위 등은 범정부 대응단을 꾸려 진화에 나섰습니다.

위기설의 단초를 제공한 새마을금고의 높은 연체율, 현재 6%대로 다른 상호금융기관의 2배가 넘는 수준인데, 5천만 원 이하의 예금과 적금은 보호되고, 지점 합병 시에도 예적금은 보호받을 수 있습니다.

[한창섭/행정안전부 차관 : 예적금이 5천만 원을 초과하더라도 합병한 금고에서 원금과 이자를 지급합니다.]

또 새마을금고 보유 자금이 77조 원이 넘는 데다, 연체율도 최근 소폭 감소하는 등 관리 가능하다고 정부는 설명했습니다.

필요하면 정부 차입을 통해 유동성을 지원하기로 하고, 중도 해지한 예적금을 재예치하면 기존 혜택을 유지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사태는 부동산 관련 대출 부실이 가장 큰 원인이지만 횡령과 부실 대출 등 미흡한 내부통제로 인한 불신, 그리고 관리 감독 사각지대 문제까지 겹쳤습니다.

[한재준/인하대 글로벌금융학과 교수 : 자산 관리와 관련된 감독, 내부 비리, 횡령 등은 전문성을 가진 금융당이 맡도록 떼어내는 게….]

정부는 지금 관리 감독 논의는 적절치 않다고 선을 그었지만, 근본적인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영상취재 : 박영일·김세경·강동철, 영상편집 : 박진훈, CG : 최하늘)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