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스브수다] 우정원, 소름 돋는 연기 그 뒤의 꾸준함

우정원

캔버스에 자유롭게 그림을 그리는 것처럼 인물을 표현하는 배우가 있다.

ENA 드라마 '행복배틀'에서 우정원(39)은 어디에나 있을법한 평범한 얼굴을 한 워킹맘 황지예라는 인물로 의문투성이의 사망사건 스릴러의 한 축을 담당한다. 극 중 럭셔리한 다른 엄마들과는 차별된 분위기를 가진 황지예란 배역에 우정원은 어느덧 그대로 빠져든 듯했다.

우정원

# '행복배틀' 평범하지만 단단한 에너지

우정원은 첫 주연작 '행복배틀'에서 표정과 자세, 말투 등 아주 사소한 것들로서 황지예를 표현하고 있다. 한 인물에 대한 치열하고 단단한 노력은 이엘, 진서연, 차예련, 박효주 등 비슷한 또래의 강렬한 개성을 가진 배우들 사이에서도, 전혀 밀리지 않고 자신이 가진 에너지를 충분히 뿜어낸다.

요즘은 "어딜 가나 범인이 누구인가."를 묻는 질문을 듣는다는 우정원은 황지예라는 캐릭터에 대해서 "의도한 대로 표현과 전달이 되고 있는 듯하다."고 만족감을 내비쳤다. 황지예는 극 중 유일한 워킹맘으로 다른 엄마들과 달리 무리해서 하이프레스티지 아파트 단지로 입성한 인물이다. 우정원은 "메이크업과 자세, 몸과 마음의 태도, 눈빛, 말투 등을 고민했었다."고 설명했다.

'행복배틀'은 제목만큼이나 또래 배우들 간의 팽팽한 분위기가 예상됐지만 실제는 정반대라고 우정원은 강조했다. 그는 "공연을 오래 하다가 매체로 넘어와서 한분 한분 다 신기했다. 모두 편안한 마음으로 대해주셔서 촬영이 겹칠 땐 같이 소박하게 호프집에서 오븐 통닭구이를 먹을 정도로 사적으로도 친분이 두터워졌다."며 화기애애한 위기를 전했다.

우정원

# 완벽을 위한 노력 '동백꽃 필 무렵'·'슈룹'

'행복배틀' 이전에는 tvN '슈룹'에서 극성스러운 모성애로 임화령(김혜수 분)과 팽팽한 기싸움을 보여줬고, '동백꽃필무렵'에서는 곽덕순(고두심 분)의 젊은 시절을 입체적으로 담아내 짧은 장면에서도 큰 울림을 준 바 있다.

"'슈룹'에서 김혜수 선배님을 만나기 전에 이미지 트레이닝을 많이 했어요. 김혜수 선배님의 연기를 맞받아치는 걸 준비해 갔는데 막상 들어갔을 때 흔들리지 않아서 놀랐어요. 혜수 선배님은 '이 부분 정말 좋다', '잘하고 있다', '표정이 좋았다' 라면서 아주 상세하게 계속 칭찬을 해주셨어요. 본인이 가진 영향력이 얼마나 큰지 어떻게 체감하시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그런 걸 좋은 방향으로 잘 쓰시는 선배님이란 생각이 들었고, 더욱 존경스러웠어요."

우정원

철저한 준비성이라면 둘째가라면 서러울 우정원의 '동백꽃필무렵'의 오디션과 관련한 일화는 놀라웠다.

"'동백꽃필무렵' 오디션을 가던 길이 기억이 많이 나요. 고두심 선배님의 젊은 시절의 배역이었는데, 만삭의 몸으로 거칠고 억척스럽게 살아가는 모습을 표현하려면, 있는 대로 하면 안 될 것 같았어요. 그래서 집에서 보자기에 옷을 싸고, 슬리퍼도 짝짝이로 신고 머리도 헝클어뜨리고, 비닐봉지에 소지품을 넘어서 파란색 버스를 타고 오디션장까지 갔어요. 그 모습을 보고 감독님이 '여기까지 이렇게 왔나'라고 물으며 고맙다고 하셨어요. 오디션에서 '고맙단'말을 들은 건 저도 처음이었어요"

# 故임홍석 선배님과 '조씨고아, 복수의 씨앗'

연기 내공에 비해서 우정원이 매체 연기를 한 경력은 생각보다 길지 않다. 2014년 KBS 드라마 '빅맨'이 우정원의 첫 매체 연기의 도전이었다. 우정원은 2015년부터 3년 간 국립극단 단원이었고, 그전에는 2007년부터 경기도문화의전당 경기도립극단에서 차석단원을 맡는 등 무대 연기로서는 이미 이름값이 높은 배우였다.

"제 인생의 작품을 꼽자면 '조씨고아, 복수의 씨앗'이에요.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작품이라고 할 수 있죠. 2015년 초연을 할 때였는데, 함께 무대에 섰던 임홍석 선배님이 연기를 마치고 분장실로 내려오시면서 돌아가셨어요. 배우들이 울면서 무대를 마쳤어요. 당시 함께 했던 배우들이 선배님의 마지막을 목도했던 그 순간은 배우로서 절대 잊을 수 없는 기억이에요. 그 작품은 국립극단의 레파토리 공연이 됐고, 고선웅 연출님이 상금을 기부하셔서 '임홍석 배우상'을 만드셔서 기념하고 있어요."

우정원

# 치열한 표현력, 그 뒤의 꾸준함

우정원은 타고난 끼와 재능이 남다른 배우일 거라는 예측에 손사래를 쳤다. 대학교에서 미술을 전공한 우정원은 신입생 시절 치어리딩 연습을 하다가 우연히 무대에 주목받는 카타르시스를 경험했을 뿐, 그전까지는 내성적인 성향이 강했다고 설명했다.

그렇게 조금씩 가까이 하기 시작한 연기의 매력에 푹 빠졌다는 것. "이 직업을 해보지 않으면 평생 후회할 것 같다"는 생각으로 평생의 직업으로 생각했던 미술 대신 연기로 인생의 큰 방향을 틀었다.

"무대에 서면 조명 때문에 객석이 보이지 않아요. 그럼 저 자신에게 집중하게 되는데, 그럴 때 집중력이 좋다고 느껴요. 몰입력이 좋다고 해야 할까요. 주변에 뭐가 있는지 잊어버릴 정도로 평소에 표현하지 못했던 것 같던 많이 표출하고 표현하게 돼요. 그러면서 스스로를 치유하고, 성장했다고 생각해요."

우정원은 천부적인 끼보다는 철저한 준비와 꾸준한 관리가 더 좋은 배우가 되는 길이라는 믿음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반복적인 훈련을 통해 운동선수처럼 관리를 하고, 거기에 자기 성찰이 더해진다면 스스로 더 발전할 것이라고 믿는다. 그래서 운동을 꾸준히 하고, 팟캐스트도 듣고 책을 많이 읽고 편지도 자주 쓰는 루틴을 놓지 않고 있다."고 강조했다.

"연기를 하면서 카타르시스를 느끼는 순간이요? 잘 알려지지 않은 배우니까 감독님께서 제가 어떻게 인물을 연습하고 연구했는지 잘 모르실 텐데 막상 연기를 하면서, 감독님이 믿음을 보여주신다고 느껴질 때 기분이 참 좋아요. 어디까지 올라가고 싶다, 혹은 유명하고 싶다는 큰 목표는 없어요. 주어진 것에 있어서 제 자신에게 부끄럽지 않고 싶은 마음, 그게 다예요."

(SBS연예뉴스 강경윤 기자)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