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6월 라면 물가 상승률 13.4%로 또 최고치…7월 둔화폭 주목

6월 라면 물가 상승률 13.4%로 또 최고치…7월 둔화폭 주목
지난 6월 라면 물가 상승 폭이 더 커지며 고공행진을 이어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로써 라면 물가 상승률과 전체 물가 상승률 간 격차는 10%포인트 이상 벌어지며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가장 커졌습니다.

이번 달에는 라면 제조업체들이 제품 가격을 잇달아 인하해 물가 상승률이 둔화하겠지만, 인하 품목이 제한돼 둔화 폭이 크지 않을 수도 있어 보입니다.

오늘(5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6월 라면의 소비자물가지수는 123.95로 작년 동월 대비 13.4% 상승했습니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2009년 2월(14.3%) 이후 14년 4개월 만에 최고치입니다.

지난 5월 13.1%를 보여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가장 높았는데, 한 달 만에 기록을 다시 갈아치웠습니다.

라면의 물가 상승률을 전체 품목과 비교하면 상당히 컸습니다.

지난달 전체 물가 상승률은 2.7%로 라면(13.4%)과의 격차가 10.7%포인트에 달했습니다.

이는 2009년 1월(11.0%포인트) 이후 14년 5개월 만에 가장 큰 것입니다.

전체 물가 상승률이 둔화세를 보이는 반면 라면은 오히려 상승 곡선을 그려 격차가 더욱 커지는 모습입니다.

이번 달에는 정부의 물가 안정 시책에 맞춰 라면 제조업체들이 제품 가격을 잇달아 내리면서 라면의 물가 상승률도 둔화할 것으로 보여 격차는 좁아질 전망입니다.

농심은 이번 달 신라면 출고가를 4.5% 인하했고, 삼양식품은 삼양라면, 짜짜로니, 맛있는라면, 열무비빔면 등 12개 대표 제품의 가격을 순차적으로 평균 4.7% 내렸습니다.

또 오뚜기가 스낵면과 참깨라면 등 15개 제품 가격을 평균 5.0% 인하하고, 팔도는 일품해물라면, 왕뚜껑봉지면 등 11개 제품 소비자 가격을 평균 5.1% 인하했습니다.

하지만 가격 인하 품목이 한정된 데다, 주력 제품이 인하 대상에서 빠지면서 라면 물가 상승 둔화 폭이 크진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있습니다.

농심은 신라면 가격을 내렸지만 안성탕면, 짜파게티, 너구리 등의 가격은 그대로 유지했고, 삼양식품(불닭볶음면), 오뚜기(진라면), 팔도(팔도비빔면) 등도 주력 제품 가격을 내리지 않았습니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는 이에 대해 "인하율과 제품 종류 측면에서 아쉬움이 크다"며 "지난해 9월 농심은 신라면 10. 9%, 너구리 9. 9% 등 라면 26개 품목을 인상했는데, 이번에는 신라면만 4. 5% 인하해 지난 인상분의 절반만큼만 인하했다"고 지적했습니다.

실제로 농심은 지난해 9월 라면 브랜드 26개의 출고가를 11.3% 인상했고, 바로 다음 달에는 팔도가 팔도비빔면과 왕뚜껑 등 12개 브랜드 제품 가격을 평균 9.8% 인상했습니다.

오뚜기도 지난해 10월 진라면을 포함해 라면 제품 가격을 평균 11.0% 인상했고, 지난해 11월에는 삼양식품이 불닭볶음면을 포함해 13개 브랜드 제품 가격을 평균 9.7% 올렸습니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는 "정부, 사회적 여론에 밀려 어쩔 수 없이 하는 생색내기식 가격 인하가 아닌 소비자가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 가격 인하를 해야 할 것"이라며 "업체들은 지난해 인상했던 가격 인상률과 제품 종류에 걸맞은 가격 인하를 결정해 원재료가 상승으로 인해 소비자에게 부담시켰던 경제적 부담을 확실히 회복시켜줘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