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빚내서 빚 갚았나"…취약차주 대출 1년 새 1조 2천억 원 늘어

"빚내서 빚 갚았나"…취약차주 대출 1년 새 1조 2천억 원 늘어
금리 인상 등 영향으로 가계대출이 줄었지만, 취약차주의 빚은 1년 사이 1조 2천억 원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취약차주들은 금리 인상기 대출 상환능력이 떨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점을 고려하면, 빚을 갚기 위해 빚을 낸 대출자가 많았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한국은행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진선미 의원(더불어민주당)에게 제출한 '가계대출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 1분기 말 기준 취약차주 대출잔액은 94조 8천억 원으로, 1년 전 93조 6천억 원과 비교해 1조 2천억 원 늘었습니다.

취약차주 1인당 대출 잔액도 7천495만 원에서 7천582만 원으로 증가했습니다.

한은은 3곳 이상 금융기관으로부터 대출받은 다중채무자이면서 저신용(7∼10등급) 또는 저소득(하위 30%)인 대출자를 취약차주로 분류합니다.

취약차주 가계대출 증가세는 같은 기간 가계대출 전체 잔액이 줄어든 것과 대조적입니다.

가계대출 잔액은 지난 1분기 말 1천845조 3천억 원으로 1년 전 1천869조 7천억 원보다 24조 4천억 원 줄었습니다.

1인당 잔액 역시 같은 기간 9천376만 원에서 9천334만 원으로 감소했습니다.

한은이 지난 2021년부터 기준금리를 3.00%포인트(p) 올리면서 가계대출이 감소하는 '디레버리징' 현상이 나타났지만, 취약차주들은 오히려 빚을 더 낸 셈입니다.

한은에 따르면 1분기 말 가계대출 연체율은 0.7%로, 1년 전의 0.5%보다 0.2%p 높아졌습니다.

가계대출 연체율 상승세는 전 연령대에서 공통으로 나타났습니다.

30대 이하 청년층의 경우 지난해 1분기 0.4%에서 올해 1분기 0.6%로 상승했고 40대와 50대는 같은 기간 0.5%에서 0.7%로, 60대 이상은 0.6%에서 0.9%까지 올랐습니다.

한은은 지난달 금융안정보고서에서 "최근 늘어난 가계대출 연체채권은 취약차주로부터 주로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습니다.

한은의 시산에 따르면 지난해 하반기 중 신규 연체 차주와 신규 연체 잔액을 대상으로 보면, 취약차주가 각각 58.8%, 62.8%를 차지했습니다.

한은은 "취약차주와 비은행금융기관 가계대출을 중심으로 연체가 늘어날 수 있어 가계대출 연체율도 당분간 상승할 것"이라고 진단했습니다.

이어 "특히 지난 2020∼2021년 중 저금리 환경, 정책 지원 조치로 잠재돼 있던 가계대출 부실이 현재화하고 누적돼 금융기관 건전성을 악화시킬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TV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