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홍콩, 주권 반환 26주년에 "'약한 저항' 계속 경계해야"

홍콩, 주권 반환 26주년에 "'약한 저항' 계속 경계해야"
홍콩의 주권 반환 26주년 기념일인 지난 1일 집회와 시위는 사라진 가운데 홍콩 행정수반은 국가안보를 적극적으로 수호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2일 홍콩프리프레스(HKFP), 명보 등에 따르면 존 리 홍콩 행정장관은 전날 열린 주권 반환 26주년 기념식에서 "홍콩은 '약한 저항'에 대한 경계를 게을리해서는 안 되며 국가 안보를 적극적으로 수호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홍콩 사회는 대체로 안정됐다면서도 "홍콩은 중국의 평화로운 발전을 오판하는 일부 국가들에 의해 의도적으로 표적이 되고 억압받았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어 "'약한 저항'의 수단을 활용하는 파괴적인 세력이 여전히 홍콩에 도사리고 있다"며 "우리는 경계를 늦춰서는 안 되며 국가안보 수호에 적극 나서야 한다. 또한 일국양제(一國兩制·한 국가 두 체제) 원칙을 충실히, 전적으로 이행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홍콩 정부는 지난해 7월 말 유엔 인권위원회가 홍콩국가보안법이 국제 협정에 어긋난다며 폐지해야 한다고 지적하자 '약한 저항'이라는 표현을 처음 동원해 반박했습니다.

당시 홍콩 정부는 2019년 홍콩 반정부 시위 이후 대중을 급진화시킨 '약한 저항'의 행동, '증오 발언과 출판'을 유엔 인권위가 참작해야 한다며 반박했습니다.

이어 지난 4월 크리스 탕 홍콩 보안장관은 입법회(의회)에서 "정부는 언론, 문화예술과 다른 '약한 저항'의 수단을 통해 중국과 홍콩 당국에 대한 증오를 선동하려는 외세의 시도를 경계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홍콩 주권 반환 26주년 기념일은 아무런 집회나 시위 없이 지나갔습니다.

홍콩프리프레스(HKFP)는 "7월 1일은 전통적으로 수천 혹은 수만 명이 다양한 요구와 불만을 거리에서 표출하는 날이었지만 올해는 1일 저녁 현재 아무런 시위가 열리지 않았다"고 전했습니다.

이어 "2003년부터 매년 7월 1일이면 민간인권전선이 빅토리아 파크에서 주최한 집회에 수많은 사람이 모였고 비정부기구(NGO) 수백 곳이 참여했다"며 "그러나 2020년 국가보안법이 시행된 후 당국은 코로나19를 이유로 민간인권전선의 집회를 불허했고 이후 민간인권전선 역시 압박 속에 해체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시민 집회가 열리던 빅토리아 파크에서는 대신 지난달 30일부터 이날까지 친중 단체가 주최하는 중국의 문화와 기술에 관한 전시회가 진행 중입니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