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올 상반기 국적사 항공여객 5천340만 명…코로나 이전 84% 회복

올 상반기 국적사 항공여객 5천340만 명…코로나 이전 84% 회복
올해 상반기 국적항공사 여객 수가 5천만 명을 웃돌며 코로나 팬데믹 이전인 2019년 상반기의 84% 수준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등 대형 항공사(FSC)는 아직 코로나 전보다 승객이 적었으나, 저비용항공사(LCC)는 단거리 여행 인기에 힘입어 4년 전 수준을 웃도는 실적을 내기도 했습니다.

2일 국토교통부 항공 통계에 따르면 올해 1∼6월 국적사를 이용한 국내선·국제선 여객 수는 5천339만 7천562명으로 집계됐습니다.

2019년 같은 기간(6천362만 9천195명)의 83.9% 수준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가운데 국내선 여객 수는 전체의 61.4%에 해당하는 3천279만 명으로 2019년 상반기(3천238만 명)에 비해 1.2% 웃돌았고, 국제선 여객 수는 2천61만 명(38.6%)으로 2019년 상반기(3천124만 명)의 66% 수준이었습니다.

월별로는 1월 860만 명, 2월 845만 명, 3월 861만 명, 4월 895만 명, 5월 944만 명, 6월 935만 명이었습니다.

모두 2019년 동월과 비교해 80%를 웃돌았습니다.

국적사 항공 여객 수는 상반기 기준 2018년과 2019년 2년 연속 6천만 명을 상회했지만, 코로나로 인해 2020년 3천17만 명으로 반토막 난 바 있습니다.

이후 2021년 3천192만 명, 2022년 3천945만 명으로 서서히 증가하다가 엔데믹을 맞은 올해 5천만 명을 넘겼습니다.

국제선 여객 수가 작년 상반기(232만 명)의 9배 가까이 폭증한 데 따른 겁니다.

항공사별로 보면 올해 상반기 대형 항공사는 LCC들보다 여객 회복세가 상대적으로 더뎠습니다.

대형 항공사들이 주로 운항하는 해외 중장거리 노선 수요는 느리게 회복됐지만, LCC가 운항하는 일본·동남아 등 단거리 여객 수요는 폭발적으로 늘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됩니다.

올해 상반기 대한항공 여객 수는 1천228만 명으로 2019년 상반기 대비 69.8%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아시아나항공은 900만 명이 이용해 68%의 회복률을 나타냈습니다.

반면 LCC인 티웨이항공 여객 수는 상반기 728만 명으로 2019년 상반기(560만 명)와 비교해 30%가량 늘었습니다.

진에어의 상반기 여객 수는 634만 명으로 14%가량 증가했습니다.

제주항공은 846만 명으로 94.2%, 에어부산은 579만 명으로 각각 코로나 이전과 비교해 92.3%의 회복률을 나타냈습니다.

LCC들의 여객 실적은 전반적으로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 돌아온 셈입니다.

한편 올해 상반기 국적사들의 항공 화물 운송량은 총 140만 5천543t으로 2019년 상반기 154만 744t의 91.2%를 기록했습니다.

화물 운송량의 54%를 차지하는 대한항공의 화물 운송량은 76만 t으로 4년 전 같은 기간의 92.6% 수준, 27%를 차지하는 아시아나항공은 38만 5천 t으로 80.7% 수준이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