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출생 신고 누락 막는다…'출생통보제' 국회 통과 · 1년 후 시행

출생 신고 누락 막는다…'출생통보제' 국회 통과 · 1년 후 시행
의료기관이 아이 출생 사실을 의무적으로 지방자치단체에 통보하도록 하는 '출생통보제'가 도입됩니다.

국회는 오늘(30일) 본회의를 열어 출생통보제 도입을 위한 '가족관계등록 등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의결했습니다.

재석 267명 중 찬성 266표, 기권 1표로 통과됐습니다.

출생통보제는 부모가 고의로 출생 신고를 누락해 '유령 아동'이 생기지 않도록 의료기관이 출생 정보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을 통해 지방자치단체에 통보하고, 지자체가 출생 신고를 하도록 하는 제도입니다.

'수원 냉장고 영아 시신' 사건 등 출생 신고가 안 된 영아가 살해·유기되는 사건이 잇따르면서 입법이 급물살을 탔습니다.

법안은 공포일로부터 1년 후 시행됩니다.

출생통보제가 도입되면 의료기관장은 출생일로부터 14일 이내 심평원에 출생 정보를 통보해야 합니다.

시·읍·면장은 출생일로부터 한 달 이내 출생 신고가 되지 않으면 모친 등 신고 의무자에게 7일 이내에 출생 신고를 하도록 통지하고, 이후에도 신고가 되지 않으면 법원 허가를 받아 직권으로 출생 신고를 할 수 있습니다.

법안에는 의료기관에서 출생 통보를 하지 않았을 경우 처벌 조항은 별도로 적시되지 않았습니다.

이날 출생통보제 법안 통과로 출생 미신고 영유아 사고 방지 입법의 또 다른 한 축인 '보호출산제' 도입 논의에도 속도가 붙을 전망입니다.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위원들은 전날 전체회의에서 여야 합의로 개정안을 의결하면서 법 시행 이전 보호출산제 도입을 위한 입법을 마무리 지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보호출산제는 미혼모나 미성년자 임산부 등 사회·경제적 위기에 처한 산모가 신원을 숨기고 출산해도 정부가 아동의 출생 신고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입니다.

여야 법사위원들은 출생통보제가 시행되면 병원 밖 출산이 늘어날 수 있기 때문에 두 제도를 동시에 도입해야 한다고 의견을 모았습니다.

보호출산제 도입을 위한 특별법은 현재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에 계류돼 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