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황준국 유엔대사 "안보리 공식회의서 북한 인권문제 논의해야"

황준국 유엔대사 "안보리 공식회의서 북한 인권문제 논의해야"
▲ 북한납치문제 유엔 심포지엄에 참석한 황준국 주유엔대사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비상임이사국이 된 한국이 북한의 인권침해를 안보리 주요 의제로 논의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는 방침을 밝혔습니다.

황준국 주유엔대사는 현지시간으로 29일 '북한 납치 문제에 대한 온라인 유엔 심포지엄'에서 "북한의 전체주의적 억압 체제는 북한 핵 개발 문제와 상호불가분의 관계로 궁극적으로 국제 평화와 안보에 위협이 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황 대사는 "윤석열 정부는 보편적 가치와 규범 중심 기조하에 강제 실종 문제를 포함한 북한 인권 문제에 적극적인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고 소개했습니다.

특히 황 대사는 지난 3월 엘리자베스 유엔 살몬 북한인권특별보고관 보고서를 언급하면서 북한이 자행하는 납치·강제실종이라는 반인도범죄의 최대 피해자는 한국인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 보고서에는 한국인 전시납북자로 10만 명, 미송환 국군포로 5만 명, 전후 납치·실종자 516명이라는 수치가 제시됐습니다.

황 대사는 "한국이 안보리 일원으로서 임기를 시작하는 2024년은 북한의 인권침해를 반인도범죄로 규정한 유엔 북한인권조사위 보고서 발간 10주년"이라며 "북한 인권문제가 북한 핵 개발 문제와 함께 안보리 주요의제로 논의될 수 있도록 노력을 배가할 계획"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올로프 스코그 주유엔 유럽연합(EU) 대사도 "인권을 존중하는 것은 평화와 안전을 다지기 위한 핵심 요소"라며 "안보리가 북한 인권 문제를 공식 의제로 삼아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날 회의를 주도한 일본의 마쓰노 히로카즈 관방장관 겸 납치문제담당대신은 기조연설에서 "기시다 후미오 총리는 납치 문제 해결을 위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어떠한 조건 없이 만날 용의가 있다"는 방침을 재확인했습니다.

이날 심포지엄은 한국과 일본, 미국, 호주, 유럽연합(EU)이 공동 주최했습니다.

(사진=유엔 웹TV캡처,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