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인류, 지하수 빼쓰다가 자전축까지 옮겼다" 서울대 연구에 외신 주목

"인류, 지하수 빼쓰다가 자전축까지 옮겼다" 서울대 연구에 외신 주목
인류의 무분별한 지하수 사용으로 21세기 들어 지구 자전축이 기울어졌다는 국내 연구를 외신들이 주목하고 있습니다.

현지시간으로 28일 뉴욕타임스(NYT)와 CNN방송, 워싱턴포스트 등은 "무엇이 지축에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답은 우리와 관련이 있다"등의 기사를 통해 서울대 연구팀의 분석을 소개했습니다.

이들 기사는 지난 15일 지구물리학 연구 회보에 발표된 서울대 지구과학교육과 서기원 교수 연구팀의 연구 결과를 인용한 것입니다.

연구팀은 지하수 고갈과 해수면 상승, 지구 자전축에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우선 연구팀은 인류가 1993∼2010년 지하수 약 2조 1천500t을 퍼 올렸다고 분석했습니다.

지구에 존재하는 물 전체의 양은 변하지 않기 때문에, 이 같은 지하수 사용으로 육지의 물이 사라지면 그만큼 바닷물이 늘어나 해수면이 상승합니다.

지하수가 바다로 흘러 들어가면 지구의 물질량 분포가 바뀌면서 지구 자전축도 이동합니다.

WP는 "지구는 팽이처럼 회전하고 있으며 어느 한쪽에서 다른 쪽으로 충분한 양의 질량이 이동할 경우 지구는 회전하면서 흔들릴 것"이라고 부연했습니다.

서울대 연구팀은 지하수 효과를 반영했을 때 자전축 변화의 예측값과 관측값이 오차 범위 내에서 일치했다고 지적했습니다.

자전축 변화 분석을 통해 지하수 고갈이 해수면 상승을 유발한다는 관측적 증거를 확보한 셈입니다.

실제 연구팀은 1993∼2010년 사이에는 다른 그 어떤 요인보다 지하수 고갈이 자전축 변화에 가장 큰 영향을 줬다면서 변화는 80㎝ 정도라고 밝혔습니다.

CNN은 "지하수 사용은 단순히 귀중한 자원을 고갈시키는 데 그치지 않는다"며 "이번 연구 결과는 지하수 사용이 의도하지 않은 전 지구적 결과를 초래한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연구의 의미를 설명했습니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