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지구 기온 1℃ 상승하면 북반구 고산지대 강우량 15% 증가"

온난화·강우패턴 변화로 북반구 고산지대 폭우위험 증폭 (사진=Jenny Nuss/Berkeley Lab 제공, 연합뉴스)

지구 온난화로 인해 기온이 1℃ 상승할 때마다 극단적 폭우로 인한 강수량이 15% 증가하고, 특히 북반구 고지대에서는 눈이 비로 바뀌면서 홍수와 산사태 위험이 급증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미국 로런스 버클리 국립연구소(LBNL) 모하메드 옴바디 박사팀은 29일 과학저널 '네이처'(Nature)에서 기후변화로 인해 북반구 산악지대에서 눈이 비로 바뀌고 있다며 이런 강수량 급증은 홍수, 산사태, 토양 침식 등 여러 가지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옴바디 박사는 "전 세계 인구의 4분의 1이 이런 산악 지역 또는 그 하류에 살고 있다"며 "이들이 온난화와 그로 인한 극단적 폭우 현상 증가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게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동안 온난화로 인해 극심한 강수 현상의 강도와 빈도가 증가하고, 특히 강설보다 강우가 홍수와 산사태 등으로 큰 피해를 일으킬 것으로 예측돼왔습니다.

온난화로 인한 강설량과 강우량 변화 및 그 영향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었습니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기후 변화가 강수 패턴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 평가하기 위해 1950~2019년 기후관측 데이터와 지구 기후 모델의 2100년까지 기후변화 예측 데이터를 결합해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온난화로 인해 북반구의 고지대 지역, 특히 눈이 주로 내리는 지역에서는 이미 극한 강우 현상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 온난화로 인한 극한 강우 현상의 강도도 기온이 1℃ 상승할 때마다 15%씩 강해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즉 지구 기온이 1℃ 상승할 때 고지대의 강우량이 평균 15% 증가한다는 의미입니다.

2100년까지 예상되는 극한 강우 위험 지도 (사진=Mohammed Ombadi/Berkeley Lab 제공, 연합뉴스)

연구팀은 이런 강우 패턴 변화는 과거 관측 자료와 미래 예측에서 모두 볼 수 있고 고지대의 강우량 증가율은 저고도의 약 2배가 될 것으로 보인다며 이는 극한 강수 현상에 대한 산악 지역의 취약성이 점점 커질 것임을 시사한다고 지적했습니다.

북반구의 모든 높은 산악 지역에서 눈이 비로 바뀌고 있지만 극한 강우 현상 위험이 가장 큰 곳으로는 북미 태평양 산악지대(요세미티 국립공원, 시에라 네바다, 캐나다-캘리포니아 남부 해안산맥)와 히말라야산맥, 고위도 지역 등이 꼽혔습니다.

옴바디 박사는 "북미 태평양 산악지대에서는 눈이 보통 0℃ 바로 아래에서 내리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0℃보다 훨씬 낮은 기온에서 눈이 내리는 다른 산맥 지역들보다 극단적 강우 현상에 더 취약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이 연구는 기온 1℃ 상승 시 고산 지대에 비가 15%나 더 내린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이런 강우 패턴 변화로 초래되는 부정적 결과들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산악 지역의 인프라 설계와 건설에 이런 요인들을 반영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