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자막뉴스] 소비자는 "오히려 좋아"…다른 식품업계로도 이어질까

농심이 다음 달 1일부터 가격을 내리기로 한 제품은 대표 상품인 신라면과 새우깡입니다.

신라면 출고가는 4.5%, 새우깡은 6.9% 인하하는데, 소매점에서 1천 원에 팔리는 신라면 한 봉지의 가격은 50원, 1천500원 새우깡은 100원 내리는 셈입니다.

[농심 관계자 : 납품받는 밀가루 가격이 내렸고, 내린 가격 이상의 혜택을 국민들에게 돌려드리기 위해 가격 인하를 결정하였습니다.]

다른 라면업체들도 가격 인하에 동참하는 분위기입니다.

삼양식품은 다음 달부터 12개 품목을 평균 4.7% 내린다고 밝혔고, 오뚜기도 현재 인하율을 논의하고 있습니다.

농심과 삼양식품의 라면값 인하는 13년 만에 처음입니다.

지난해 5월 밀 수입 가격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자 라면업계는 10% 안팎으로 출고가를 올렸는데, 올 들어 다시 밀 가격이 내려가면서 정부의 압박이 노골화됐습니다.

밀가루를 공급하는 제분업계를 소집해 밀 수입 가격 하락을 반영해달라고 요청했고, 결국 제분업계가 7월 출하 가격을 낮추면서 라면업계가 가격 인하를 거부할 명분이 부족해졌습니다.

특히 라면이 1년 새 13% 넘게 오르는 등 필수 서민 음식 물가의 고공행진에 소비자 불만이 커진 것도 업계에는 부담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라면 가격 인하가 아이스크림, 우유 등 다른 업계로도 이어질지 주목되는 가운데, 소비자들의 혜택과는 별개로 정부의 반복적이고 인위적 물가 개입 정책이 시장의 가격 결정 기능을 왜곡시킬 것이라는 지적도 동시에 제기되고 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